Important Announcement
PubHTML5 Scheduled Server Maintenance on (GMT) Sunday, June 26th, 2:00 am - 8:00 am.
PubHTML5 site will be inoperative during the times indicated!

Home Explore 임상시기능교정전문인재반_시기능교정훈련

임상시기능교정전문인재반_시기능교정훈련

Published by 박순응, 2020-12-31 02:38:03

Description: 임상시기능교정전문인재반_시기능교정훈련

Search

Read the Text Version

「안경광학과」 사회맞춤형 현장실무 교과목 학습지침서(교안) 교 과 목 : 시기능교정훈련 학년/학기 : 3학년 2학기 담당교수 :

학습지도안(교안) PARTⅠ Ⅰ 개요

교과목 명 : 시기능교정훈련 교과목 분류체계 분류 보건의료 중분류 보건 소분류 의료기술지원 세분류 시기능교정 능력단위 시기능교정훈련 교과목 해당 직무 직업(군) 직무명 직무정의 안경사 시기능교정 눈의 기능과 굴절상태에 기초하여 시기능을 분석하고, 정확한 시기 능교정렌즈의 처방 및 처치방법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교과목 내용체계 능력단위요소/임무 이수시간 능력단위/책무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시기능교정훈련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30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1-

교육과정 로드맵 -2-

교과목 명세서 교과목명 시기능교정훈련 직무 직무 및 책무명(Duty) 교수학습지침서 능력단위 시기능교정 작업명(Task) 시기능교정훈련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수행준거 선정하기 Ÿ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Ÿ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Ÿ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능력단위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Ÿ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요소 및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수행준거 Ÿ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Ÿ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하기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작업명(Task) Ÿ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구분 내용 지식(K) Ÿ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 Ÿ 시기능교정 훈련도구 선정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기술(S) Ÿ 시기능교정 훈련과 효과를 설명하는 기술 선정하기 Ÿ 자발적훈련을 요청하는 기술 태도(A) Ÿ 시기능문제점을 파악하려는 태도 도구(T) Ÿ 환자의 불편감을 이해하려는 태도 지식(K)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포롭터, 주시막대, 마독스로드, 레티노스코프, 옵살모스코프, DEM 시표, MEM 카드 Ÿ 시기능교정훈련 Ÿ 시지각능력 개선훈련 기술(S) Ÿ 시기능교정훈련기술 Ÿ 시지각능력 개선기술 지식/기술/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태도(A) Ÿ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태도 태도/도구 도구(T) Ÿ 측정법을 숙지하려는 태도 지식(K)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brock string, flipper prism, flipper lens, barrel card, vectogram, lens sorting, eccentric circle, Hart Chart, loose lens rock. 주시막 대, 차폐판, 펜라이트, 트랜스일루미네이터, 줄자, 프리 즘세트 Ÿ 전정기관과 내전 및 외전 기능 강화 Ÿ 운동과 감각신경 개선과 시기능교정훈련 기술(S) Ÿ 시기능과 시지각 판단 기술 Ÿ 시기능교정훈련 프로그램 관리 기술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Ÿ 정확한 훈련법을 적용하려는 태도 Ÿ 환자별 교정법을 피드백하는 태도 태도(A) 도구(T)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포롭터, 프리즘세트, 차폐용 아이 이수시간 패드, 메트로놈, 바골리니렌즈, 워쓰4 Dot, 이중 마독 스로드, 안모형안, 뇌모형, 슬릿램프, 렌즈미터, 판부렌 즈, 적녹필터 이수구분 전공필수 30 학점 2 -3-

교육목표 운동성 신경 및 감각성 신경이 활성화되도록 신체 협응 능력을 개선시켜 시지각능력을 회복시키고 시기능 교정용 훈련도구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실습을 통해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시기능 장애를 훈 련기간을 설정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교육내용 안경 및 시력보정용구 처방을 통해 시력은 양호하지만 시기능의 문제로 편안한 시생활이 어려운 대 상자들에게 시기능교정용 훈련 도구를 활용하여 시지각 개선을 통해 시기능 장애를 종합적으로 개선 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여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abcde f gh 교수․학습 ○○ ○ 방법 a. 이론강의, b. 실습, c. 발표, d. 토론, e. 팀프로젝트, f. 캡스톤디자인, g. 포트폴리오(학습자/교수자), 장비 및 도구 h. 기타 평가 방법 컴퓨터, 빔프로젝트, 자동검안기, 챠트(모니터/밀러), 수동포롭터, pegboard rotator, WACS, space fixator, walking rail, balance board, geoboard, wans, 레티노스코프, 옵살모스코프, DEM 시표, MEM 교육정보 카드, brock string, loose prism rock, flipper prism, flipper lens, barrel card, vectogram, lens sorting, eccentric circle, Hart Chart, loose lens rock. Prism Bar, wesson fixation card, PD조정용시 험테, 주시막대, 차폐판, 펜라이트, 트랜스일루미네이터, 줄자, 프리즘세트, 차폐용 아이패드, 메트로놈, 바골리니렌즈, 워쓰4 Dot, 이중마독스로드, 안모형안, 뇌모형, 슬릿램프, 렌즈미터, 판부렌즈, 적녹필터 AB CDE F GH I J K LM ○ ○○ A. 포트폴리오 B. 문제해결시나리오 C. 서술형시험 D. 논술형시험 E. 사례연구 F. 평가자 질문 G. 평 가자 체크리스트 H.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I. 일지/저널 J. 역할연기 K. 구두발표 L. 작업장평가 M. 기 타 - 양안시처치와 관리, 대학서림, 2009 - 시기능훈련 교육, (사)한국시기능훈련교육협회, 2016 - 안경광학, 대학서림, 2013 -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안기능이상 처방, 신광출판사, 2017 - 양안시기능학, 신광출판사, 2010 -4-

강의계획서 학과명 안경광학과 과목명 시기능교정 학년/반 3학년 강의실 훈련 수업시간 직무 과학관 405호 학점/시수 2/2 능력단위/ 시기능교정 이수구분 담당교수 Duty 전공선택 학습성과/ 시기능교정훈련 교과목표 교과목표 학습성과 연관성/수준 Ÿ 운동성 및 감각성 신경이 활성 1 시기능교정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화되도록 신체 협응 능력을 개 있다 선시켜 시지각능력을 회복 2 시기능교정 도구를 통해 훈련할 수 Ÿ 시기능 교정용 훈련도구를 활 있다 용하여 교정훈련능력 확보 3 시기능교정 훈련의 성과를 측정하 Ÿ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시기능 기 장애를 훈련기간을 설정하여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학습 능력단위요소/Task 수행준거 지식⦁기술⦁태도⦁도구 시기능교정 Ÿ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 〔지식〕 훈련방법 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Ÿ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 선정하기 Ÿ 시기능교정 훈련도구 선정 Ÿ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 〔기술〕 할 수 있다. Ÿ 시기능교정 훈련과 효과를 설명하는 기술 Ÿ 자발적훈련을 요청하는 기술 Ÿ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태도〕 선정할 수 있다. Ÿ 시기능문제점을 파악하려는 태도 Ÿ 환자의 불편감을 이해하려는 태도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 〔도구〕 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포롭터, 주시막대, 마독스로드, 노스코프, 옵살모스코프, DEM 시표, MEM 카드 레티 시기능교정 Ÿ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지식〕 훈련하기 할 수 있다 Ÿ 시기능교정훈련 Ÿ 시지각능력 개선훈련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 〔기술〕 을 할 수 있다. Ÿ 시기능교정훈련기술 Ÿ 시지각능력 개선기술 Ÿ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 〔태도〕 정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태도 Ÿ 측정법을 숙지하려는 태도 Ÿ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도구〕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brock string, flipper prism, flipper lens, barrel card, vectogram, lens sorting, eccentric circle, Hart Chart, loose lens rock. 주시막대, 차폐판, 펜라이트, 트랜스일루미네이터, 줄자, 프리즘세트 시기능교정 Ÿ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지식〕 훈련성과 있다 Ÿ 전정기관과 내전 및 외전 기능 강화 측정하기 Ÿ 운동과 감각신경 개선과 시기능교정훈련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기술〕 측정할 수 있다. Ÿ 시기능과 시지각 판단 기술 Ÿ 시기능교정훈련 프로그램 관리 기술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 〔태도〕 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Ÿ 정확한 훈련법을 적용하려는 태도 수 있다. Ÿ 환자별 교정법을 피드백하는 태도 〔도구〕 Ÿ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 Ÿ 컴퓨터, 빔 프로젝터, 포롭터, 프리즘세트, 차폐용 아이패드, 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메트로놈, 바골리니렌즈, 워쓰4 Dot, 이중 마독스로드, 안모 형안, 뇌모형, 슬릿램프, 렌즈미터, 판부렌즈, 적녹필터 -5-

교수학습 항목 출석 강의 발표 토론 합계 방법 비율 20 60 20 100% 평가방법 항목 출석평가 직무능력평가 직무능력평가 종합평가 합계 교육장소 12 교재 비율 20% 30% 20% 30% 100% (NCS학습모듈) 일반강의실 전용실습실 컴퓨터실습실 세미나실 기타 주교재 부교재 ○ 참고교재 교재명 저자 출판사 발행 년도 시기능훈련 교육 신효순 외 한국시기능훈련교육협회 2016 양안시처치와 관리 편집부 대학서림 2009 안경사를 위한 임상검안과 안기능 김재도 신광출판사 2017 이상 처방 AB CDE F GH I J K LM ◯ ○◯ 평가방법 A. 포트폴리오 B. 문제해결시나리오 C. 서술형시험 D. 논술형시험 E. 사례연구 F. 평가자 질문 G. 평가자 체크리스트 H.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I. 일지/저널 J. 역할연 기 K. 구두발표 L. 작업장평가 M. 기타 ※ 세부내용은 평가계획서에 기술됨 주차 관련 주요 학습 내용 비 1주 능력단위요소/Task(코드) 고 「시기능교정훈련」교과의 학습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에 대한 자 진단평가 및 가 진단평가 및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선정하기 2주 시기능교정훈련방법 선정하기 -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3주 시기능교정훈련방법 선정하기 -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4주 시기능교정훈련방법 선정하기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5주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6주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7주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8주 1차평가 - 시기능교정훈련방법 선정하기와 훈련하기에 관한 평가 및 피드백 9주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10주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11주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12주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13주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 14주 다. 2차평가 -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 다 - 훈련하기와 훈련성과 측정하기에 관한 평가 및 피드백 15주 종합평가 - 종합평가 -6-

평가계획서 학과명 안경광학과 과목명 시기능교정 학년/반 3학년 훈련 수업시간 강의실 과학관 405호 학점/시수 2/2 시기능교정 이수구분 담당교수 직무 사회맞춤형 능력단위/ 시기능교정훈련 Duty ① 평가계획서 「시기능교정훈련」 평가계획서 교과목 명 시기능교정훈련 담당교수 직무명(세분류) 능력단위/책무(Duty) 능력단위요소/작업(Task) 학습내용 시기능교정 시기능교정훈련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Ÿ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Ÿ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Ÿ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측정하기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Ÿ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Ÿ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Ÿ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Ÿ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Ÿ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 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항목 평가내용 및 방법 배점 진단평가 • 평가내용 : 「시기능교정 훈련」교과의 학습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평가 30 직무능력평가 1 • 평가시기 : 1주차 20 30 직무능력평가 • 영역별 평가내용 : 진단평가서 참조 20 2 (5) • 평가방법 :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100% 종합평가 출석평가 • 관련 능력단위 요소 : 훈련방법 선정하기,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향상심화교육 • 평가내용 :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시기능교정 훈련하기에 대한 평가 평가 • 평가시기 : 8주차 • 영역별 평가내용 : 직무수행능력 평가서 참조 • 평가방법 : 능력단위의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서술형 평가 • 관련 능력단위 요소 :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훈련성과 측정하기 • 평가내용 :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훈련성과 측정하기에 대한 평가 • 평가시기 : 14주차 • 영역별 평가내용 : 직무수행능력 평가서 참조 • 평가방법 : 능력단위의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서술형 평가 • 평가내용 : 시기능교정훈련 교과의 능력단위별 직무 수행능력 및 지식, 기술, 태 도 등의 학습 성취 정도를 종합평가 • 평가시기 : 15주차 • 평가방법 : 능력단위의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서술형 평가 • 대학의 출석관련 규정 및 지침에 따름 • NCS 기반 정규교과목 운영에 따른 능력단위별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 후 평가내용의 피드백과 더불어 향상/심화 과정 운영 • 능력단위요소의 수행준거 : 이론수업 • 능력단위요소의 지식 : 이론수업 • 심화/향상 교육 이후 수행정도에 따라 최대 5점까지 평가에 반영 -7-

② 자가진단 평가서 「시기능교정훈련」 자가진단 평가서 평가일자 : 0000년 00월 00일 학번 능력단위 시기능교정훈련 이름 [평가] 자가진단 영역 평가내용 (1) (2) (3)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렇지 보통 그렇 않다 이다 다 시기능교정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훈련방법 선정하기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 다.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시기능 시기능교정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교정 훈련하기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훈련성과 측정하기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 할 수 있다. [평가결과] 문항 그렇지 자가진단 그렇다 비고 수 않다 보통이다 진단영역 4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4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4 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계 12 대구과학대학교 -8-

③ 직무능력 평가서 「시기능교정훈련」 직무능력 1차 평가서 평가일자 : 0000년 00월 00일 학번 능력단위 시기능교정훈련 담당교수 이름 평가방법 능력단위의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한 서술형 시험에 의한 평가 [평가] 평가내용 매우 미흡 평가 매우 (수행준거) 미흡 (2) 우수 영역 보통 우수 (1) (3) (4) (5) 1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2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훈련방법 3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선정하기 4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5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6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훈련하기 7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평가점수 합계 [결과] 진단영역 총점 배점 평가점수 환산점수 30 30 •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환산점수 산출식 : (총점:배점 = 평가점수:환산점수) → (배점×평가점수)/총점 = 환산점수 대구과학대학교 -9-

「시기능교정훈련」 직무능력 2차 평가서 평가일자 : 0000년 00월 00일 학번 능력단위 시기능교정 검사/측정 담당 이름 교수 평가방법 능력단위의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한 서술형 시험에 의한 평가 [평가] 평가내용 매우 평가 매우 (수행준거) 미흡 우수 영역 미흡 보통 우수 (1) (2) (3) (4) (5) 시기능교정 1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 훈련하기 다. 2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시기능교정 3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훈련성과 측정하기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 정할 수 있다. 4 5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점수 합계 [결과] 총점 배점 평가점수 환산점수 진단영역 •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20 20 • 시시기능교정 훈련성과 측정하기 * 환산점수 산출식 : (총점:배점 = 평가점수:환산점수) → (배점×평가점수)/총점 = 환산점수 대구과학대학교 - 10 -

④ 직무능력 종합평가서 「시기능교정훈련」 종합 평가서 평가일자 : 0000년 00월 00일 학번 능력단 시기능교정훈련 담당 이름 위 교수 평가방법 능력단위요소에서 요구되는 지식을 기준으로 서술형 시험 [평가] 평가내용 평가 (지식) / 30 영역 / 30점 1 환자의 완전교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선정하기 2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3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4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에 따라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5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검사방법 6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적용하기 7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8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9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검사결과 10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평가하기 11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12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점수 대구과학대학교 - 11 -

⑤ 향상/심화교육 계획서 「시기능교정훈련」 향상/심화교육 계획서 교과목 명 시기능교정훈련 학습모듈 ◼활 용( ) 담당교수 활용여부 ◼미활용( ○ ) 심화/향상 • 학기 중 2시간 교육기간 교육대상 • 안경광학과 / 「시기능교정훈련」 수강자 교육내용 • 시기능교정훈련 관련 능력 단위요소의 수행준거 및 지식 수업방법 감각통합수업의 이해 및 실습 : 2시간 이론강의 실습 특강 현장체험 기타 ○ 대분류 보건의료 NCS 중분류 보건 분류체계 소본류 의료기술지원 세분류 시기능교정 능력단위 시기능교정훈련 • 사회맞춤형 교과목 운영에 따른 능력단위별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 후 바 로 평가내용의 피드백과 더불어 향상/심화 과정을 운영 함 • 능력단위요소의 수행준거 : 이론수업 • 능력단위요소의 지식 : 이론수업 • 심화/향상 교육 이후 수행정도에 따라 최대 5점까지 평가에 반영 비고 대구과학대학교 - 12 -

학습지도안(교안) PARTⅡ Ⅰ 학습계획서

1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역량파악 학습목표 시기능교정훈련이란 무엇이며,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기초이론 - 자가진단평가 - 환자의 완전교정상태 종합적인 파악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진단평가지 주차 1주차 - 자가진단평가,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기초이론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소개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강의 40분 - 시기능교정훈련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이해 설명하기 - 시기능교정훈련 목적에 대해 이해 - 시기능교정훈련의 목적 휴식 10분 강의 30분 - 시기능교정훈련의 순서 - 시기능교정훈련 순서에 대한 이해 - 시기능교정훈련 방법에 대한 전반적 - 시기능교정훈련 방법에 대한 이해 인 설명하기 정리 20분 - 수업내용 요약정리 전달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및 - 수업내용에 관한 질의, 응답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자기 진단 - 자기진단평가서를 이용하여 교과목의 - 교과목의 이해정도에 따라 자가진단평 평가 전반적 이해도를 평가 가서를 작성 - 2주차 수업 안내 및 선행학습 유도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2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 선정 학습목표 향상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타각적, 자각적 종합 굴절검사 - 시각장애 파악 - 시기능이상 선별검사, 문진하기, QOL설문지 설문하기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주차 2주차 - 시지각 향상 훈련방법 선정하기 단계 배정 교수-학습 활동 시간 학습자 활동 교수자 활동 비고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타각적, 자각적 종합 굴절검사 - 타각적, 자각적 종합 굴절검사 이해 - 시각장애 파악 - 시각장애의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신체 협응과 인지장애 파악 - 신체 협응과 인지장애 이해 - 시지각 향상 기초 훈련방법 선정 - 시지각 향상 기초 훈련방법 선정 이해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16 -

3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프리즘 훈련방법 선정 학습목표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시기능교정 프리즘의 특징 - 렌즈와 프리즘 처방이 필요한 사례 - 시기능장애 정도와 프리즘 처방 방향의 이해 - 입체시, 조절근점, 폭주근점, 외안근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포롭터, 프리즘, 주차 3주차 - 시기능교정 프리즘 훈련방법 선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시기능교정 프리즘의 특징 - 시기능교정 프리즘의 특징 이해 - 렌즈와 프리즘 처방이 필요한 사례 - 렌즈와 프리즘 처방이 필요한 사례 학습과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시기능장애 정도와 프리즘 처방 방향의 - 시기능장애 정도와 프리즘 처방 방향 및 이해 의 이해와 적용 실습 - 양안에 미치는 프리즘 영향의 이해 - 양안에 미치는 프리즘 영향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17 -

4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선정 학습목표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선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구분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선정 - 대면법, 그림자검사, 색각검사, 암슬러그리드검사, 황반부광자극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포롭터, 프리즘, DEM, MEM 주차 4주차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선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사시성 장애의 특징 - 사시성 장애의 특징 이해 - 비사시성 장애의 특징 - 비사시성 장애의 특징 이해 휴식 10분 강의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구분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구분에 및 40분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대한 이해 실습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훈련방법 선정방법 이해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18 -

5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공감각 개선 훈련 학습목표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학습내용 학습자료 - 렌즈로 인한 공감각 변화 - 프리즘처방으로 인한 공감각 변화 -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기초훈련 - 상태에 따른 개인 훈련방법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교차원주렌즈, 포롭터, 프리즘, 시기능훈련 시표 주차 5주차 -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훈련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렌즈로 인한 공감각 변화 - 렌즈 착용 전후의 공감각 변화 이해 - 프리즘처방으로 인한 공감각 변화 - 프리즘착용으로 인한 공감각 변화 이 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기초훈련 - 시지각과 공감각 개선 기초훈련 이해 및 - 상태에 따른 개인 훈련방법 - 상태에 따른 개인 훈련방법 이해 실습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19 -

6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신체협응 개선 훈련하기 학습목표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을 할 수 있다. 학습내용 학습자료 - 신체협응 상태 파악 - 메트로놈을 이용한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 호흡 및 심리 변화를 통한 협응 개선 - egboard rotator, WACS, space fixator, walking rail, balance board, geoboard, wans 빔프로젝트, PPT자료, 컴퓨터, 포롭터, 메트로놈, 프리즘 주차 6주차 - 시지각과 신체협응 개선 훈련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신체협응 상태 파악 - 신체협응 상태에 대한 이해 - 메트로놈을 이용한 시지각과 신체협응 - 메트로놈을 이용한 시지각과 신체협 개선 응 변화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호흡 및 심리 변화를 통한 협응 개선 - 호흡 및 심리 변화를 통한 협응 이해 및 - 신체협응 개선을 위한 반복 실습 - 신체협응 개선을 위한 반복 실습 적 실습 용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직무 1차 평가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직무 1차 평가에 대해 이해 - 20 -

7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학습목표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을 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입체시 이론과 측정도구 - 양안 입체시 상태 파악 - 시기능훈련 기초도구 활용을 통한 교정훈련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주차 7주차 - 입체시 개선을 위한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입체시 이론 - 입체시 이론에 대한 이해 - 입체시 측정도구 - 입체시 측정도구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양안 입체시 상태 파악 - 양안 입체시 상태에 대한 이해 및 - 시기능훈련 기초도구 활용을 통한 교정 - 시기능훈련 기초도구 활용을 통한 교 실습 훈련 정훈련 이해와 적용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직무 1차 평가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직무 1차 평가에 대해 이해 - 21 -

8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직무 1차 평가 학습목표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과 시기능교정 훈련하기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내용을 이해할 수 학습내용 있다. -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하기 - 시기능교정 훈련하기 - 객관식, 서술형 시험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평가지 주차 8주차 - 직무 1차 평가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과 시기능 - 시기능교정 훈련방법 선정과 시기 교정 훈련하기 능교정 훈련하기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설명 - 시험지를 확인한 후 학번과 이름을 기 - 시험지를 확인 후 자신의 이름과 학 5분 재하도록 안내하고 평가 시 주의사항 번을 적고 시험지 앞뒤 내용을 확인 에 대해 설명 - 평가의 주의사항에 대한 이해 서술 - 서술형 시험 실시 40분 - 서술형 시험 감독 시험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 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5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2 -

9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하기 학습목표 억제가 있는 환자에게 주변시 강화 훈련을 할 수 있다. 학습내용 학습자료 - 워쓰 4 dot 억제검사 - 바골리니 렌즈 검사하기 - 비측차폐판 사용하기 - OKN 드럼을 이용한 주변시 강화 훈련하기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포롭터, 차폐용 아이패드, 적녹필터 주차 9주차 - 주변시 강화 훈련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 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 워쓰 4 dot 억제검사 - 워쓰 4 dot 억제검사에 대한 이해 강의 40분 - 바골리니 렌즈 검사에 대한 이해 - 바골리니 렌즈 검사하기 휴식 10분 강의 40분 - 비측차폐판 사용하기 - 비측차폐판 사용방법 이해 및 - OKN 드럼을 이용한 주변시 강화 훈 - OKN 드럼을 이용한 주변시 강화 실습 련하기 훈련에 대한 이해 정리 10분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 - 수업내용 중 중요 부분을 체크하고 요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가짐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23 -

10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훈련성과 측정 학습목표 - 시지각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전정기관과 내전 및 외전 기능 강화 성과 - 조절이상과 버전스이상에 대한 시기능훈련 학습자료 빔프로젝트, PPT자료, 컴퓨터, 포롭터 주차 10주차 - 시지각 훈련성과 측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 -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양안 조절균형검사의 원리 - 양안 조절균형검사의 원리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조절균형 완전교정 평가 방법 - 조절균형 완전교정 평가 방법에 대한 및 1. 적록검사 이해 실습 2. 회전프리즘검사 1. 적록검사 3. 편광필터검사 2. 회전프리즘검사 4. 편광 적록검사 3. 편광필터검사 4. 편광 적록검사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4 -

11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신체협응 훈련성과 측정 학습목표 -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개선 성과 - 신체 동시 협응 개선 상태 - 안구운동이상에 대한 시기능훈련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포롭터 주차 11주차 - 시지각과 신체협응 훈련성과 측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조절성폭주비에 대한 이해 - 조절성폭주비에 대한 이해 - Gradient AC/A 측정법 - Gradient AC/A 측정법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Heterophoria AC/A 측정법 - Heterophoria AC/A 측정법에 대한 및 - Gradient AC/A와 Heterophoria AC/A의 이해 실습 비교 - Gradient AC/A와 Heterophoria AC/A 의 차이점 이해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5 -

12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 측정 학습목표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사시성환자의 증상완화 학습자료 - 비사시성환자의 증상완화 - 브록스트링, 낱개프리즘락, 플리퍼프리즘, 바렐카드, 가변벡토그램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포롭터 주차 12주차 – 사시성과 비사시성 환자의 증상 완화 훈련 성과 측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발표 40분 - 시기능 분석 방법의 종류 - 시기능 분석 방법의 종류에 대한 이해 - 그래프분석법의 구성요소 - 그래프분석법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휴식 10분 강의 40분 - 양안단일시기능 불량 - 양안단일시기능 불량에 대한 이해 및 1. 폭주부족형 1. 폭주부족형 실습 2. 폭주과다형 2. 폭주과다형 3. 개산부족형 3. 개산부족형 4. 개산과다형 4. 개산과다형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6 -

13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따른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 학습목표 - 증상개선 정도에 따라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시기능과 시지각 개선 - 시기능교정프로그램 관리 능력 - 구경카드, 적녹편심원카드, 낱개렌즈락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주차 13주차 – 증상개선에 따른 교정훈련 시기와 보조수단을 결정하기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조절기능 불량 - 조절기능 불량에 대한 이해 1. 조절부족 1. 조절부족 2. 조절쇠약 2. 조절쇠약 3. 조절과다 3. 조절과다 휴식 10분 강의 40분 - 모건 표준값에 의한 시기능분석 - 모건 표준값에 의한 시기능분석에 대 및 - 시기능 분석 후의 대처 한 이해 실습 - 시기능 분석 후 대처에 대한 이해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10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7 -

14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직무 2차 평가 학습목표 훈련성과 측정하기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내용 - 검사결과 평가하기 - 객관식, 서술형 시험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평가지 주차 14주차 - 직무 2차 평가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 -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내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검사결과 평가하기 - 검사결과 평가하기에 대해 이해 휴식 10분 설명 - 시험지를 확인한 후 학번과 이름을 기 - 시험지를 확인 후 자신의 이름과 학 5분 재하도록 안내하고 평가 시 주의사항 번을 적고 시험지 앞뒤내용을 확인 에 대해 설명 - 평가의 주의사항에 대한 이해 서술 - 서술형 시험 감독 - 서술형 시험 실시 40분 시험 - 이번 주 수업내용에 대해 요약, 주요 - 수업내용 중 중요부분을 체크하고 이 정리 5분 점을 정리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짐 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질의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 - 다음 차시 수업내용에 대해 이해 - 28 -

15주차 학습지도안 학습주제 종합평가 학습목표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학습내용 - 선정하기 - 훈련하기 - 훈련하기와 훈련성과 측정하기 학습자료 컴퓨터, 빔프로젝트, PPT자료, 평가지 주차 15주차 - 종합평가 배정 교수자 활동 교수-학습 활동 비고 단계 학습자 활동 시간 도입 10분 - 인사 및 출석 점검 - 교과목 개요와 이번 주 학습할 내 - 이번 주 수업내용을 설명 용과 활동에 대해 파악 강의 40분 -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해 설명하기 - 시기능교정훈련에 대해 이해하 및 고 설명하기 실습 휴식 10분 - 시험지를 확인한 후 학번과 이름을 기 - 시험지를 확인 후 자신의 이름과 학 설명 5분 재하도록 안내하고 평가 시 주의사항 번을 적고 시험지 앞뒤 내용을 확인 에 대해 설명 - 평가의 주의사항에 대한 이해 서술 - 서술형 시험 실시 40분 - 서술형 시험 감독 시험 정리 5분 - 빠트린 문항이 없는지 확인하도록 함 - 제출 전 다시 한 번 이름과 학번을 확 인한 후 정답체크를 빠트리지 않았는지 확인함 - 29 -

학습지도안(교안) PARTⅢ Ⅰ 1. 수업 PPT 2. 기타 관련자료 3. 참고문헌 - 30 -

수업 PPT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Like this book? You can publish your book online for free in a few minutes!
Create your own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