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ant Announcement
PubHTML5 Scheduled Server Maintenance on (GMT) Sunday, June 26th, 2:00 am - 8:00 am.
PubHTML5 site will be inoperative during the times indicated!

Home Explore SEON잡지편집저장3

SEON잡지편집저장3

Published by anhokyoung, 2023-07-18 03:06:00

Description: SEON잡지편집저장3

Search

Read the Text Version

SEON 여름 SUMMER NEWS LETTER SEON ARCHITECTURE & ENGINEERING THEME STORY AI 시대 변화의 시작은 어디서부터 시작될 것인가? CM STORY 수곡동행복주택현장 CM 완공현장 진천 창작스토리 클러스터 건축설계 STORY 충주중앙탑고등학교

contents THEME STORY 04 4차 산업혁명 변화의 시작은 어디서부터 시작될 것인가? CM STORY 04 CM완공현장 진천 창작스토리클러스터 12 CM 현장 행복주택 건축설계 STORY 14 충주중앙탑고등학교 16 경기도 광주실내수영장

WE 신입사원 유신재 / 과장 Yoo, Sinjae 전문적인/ 따뜻한/ 배려하는/ 약속을 지키는/ 지식이 풍부한 /경험이 많은 /정보가 많은/객관적인 / 정확한 / 최선을 다하는 /가족, 친구 같 은/ 한결같은 /늘 옆에 있는 /도와주는/믿을 수 있는/ 능력 있는 /노력 하는/일 잘하는 /매력 있는. “꿈꾸는 창의성보다는 결과를 만드는 창의성에 매력 을 느낍니다. 창의성의 근간에는 목표에 대한 욕심 과 주제에 대한 집중력이 필요함을 배우고 경험했기 에 입사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AI 시대

변화의 시작은 어디서 부터 시작될 것인가? 최근에 정부 인사 혁신처는 이런 발표를 하였다. \"2030년까지 민원 담당공무원 50% 이상, 경찰·소방 등 현장공무원 25% 이상, 전문 직무 담당공무원 25% 이상을 인공지능으로 대체한다. 이후 2045년까지 민원 담당 공무원 70%, 현장 공무원50%, 전문 직무 담당 공무원 50%를 인공지능으로 대체한 다.\" 4차 산업을 주도하는 AI란 무엇인가? AI란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로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인간과 같이 사고하고 학 습하며 판단하는 논리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이미 AI 기술은 우리 도 모르는 사이 실생활은 물론, 자동차에서부터 의료, 운송 및 통신에 이르기까지 다 양한 산업에 걸쳐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적용되고 있다. 쉽게 예를 들자면 구글(google)에서 만든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가 한 예이 다. 바둑에는 총 10의 170승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경우의 수가 있다는데 이러한 복 잡성을 인공지능에 적용하는데 성공하였고, '지도학습'과 '강화학습'을 결합하여 바둑 을 두면서 직접 학습을 할 수 있는 알파고를 만들었고, 결국 사람들 중에서 가장 바둑 을 잘 둔다는 이세돌 구단을 4대1로 이겨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AI 상담사 까지 등 장했다. 전화 상담을 AI가 대신 받아서 처리해준다. 콜 센터에서 사람이 하기 힘든 불 편한 상담을 대신 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AI의 발달에 따라 콜 센터 상담 직원 을 대체하는 기술이 나오고 있어 감정적인 대응을 하지 않으니 블랙 컨슈머가 사라지 게 생겼다. AI중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본 것은 의료분야이다. 실제로 AI 기술을 이용해 폐 질환, 유 방암, 치매 등의 질환을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보조 소프트웨어들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신논문, 과거 진료 정보, 학술지 등의 정 보를 스스로 학습해 의사가 최적의 처방을 내리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 는데 AI 사용하면 정확도를 높이고 진단 시간과 비용까지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또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케어를 받을 수 있어 AI를 활용한 의료 및 헬 스 케어 적용 가치는 점점 증대되고 있는 중이다. AI를 적용하지 못하는 의사는 자연 적으로 도태되는 시대가 되었다.

당신은 변화를 받아들일 것인가? 거부할 것인가? 자동차 분야 역시 인공지능이 폭넓게 쓰일 것으로 예상 되는데 특 둘째, 인공지능의 개발자가 개발에 대한 경제적 이익을 모두 가져 히, 사람이 아닌 AI가 운전기사 역할을 해 앞차와의 거리를 조절 가서 실질적으로 인공지능이 주는 혜택은 있는 사람에게만 돌아가 하고 차선을 변경하는 등 운전 상황 전반을 통제하는 자율 주행 고 나머지 다수는 오히려 더 못한 삶을 살게 될 수 있다. 대기업의 자동차 기술의 근간은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Advanced 독점시장체제가 강화될 우려가 있다는 뜻이다. Driver Assistance System)이다. ADAS는 전후좌우에 달린 카메라 가 사물과 차선, 표지판을 인식하면 중앙시스템이 이 정보를 처리 셋째, 다양한 삶이라는 빅 데이터가 지능과 학습의 기반이 되어 인 해 속도를 줄이거나 차선을 바꾸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리로 공지능을 고도화하는데, 그 빅 데이터가 인간 삶의 편견을 거르지 자동차뿐만 아니라 비행기, 선박, 드론, 로봇 등 다양한 이동체에 않고 받아들이기 때문에 까닭에 인공지능의 판단력 또한 편견에 쉽게 응용될 수 있다고 한다. 이미 자동 주행 관련 인공 지능 기술 물들고 평등하지 못한 인간의 가치관을 그대로 이어받는다. 은 시험 주행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했으며, 미국이나 일본 등 경제 강국에서는 대규모가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 ‘AI 자 넷째, 생각을 빨리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생활을 가급적 모두 공개 동차’ 시장은 점점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해야 하는데, 그런 만큼 나에 관한 정보는 비밀스러운 것까지 모두 어딘가에 축적되고 있다. 사생활 침해와 개인 감시가 나도 모르는 인공지능 기술은 많은 양의 데이터와 빠른 처리 능력, 그리고 강력 사이에 이루어지고 지고, 이런 감시는 결국 개인 사생활의 침해를 한 알고리즘이 결합해 더욱 널리 보급되고 있다 앞으로 인공지능 낳는다. 은 우리 생활에 어떤 발전을 불러 올지 궁금해지는 혁신을 넘어선 시대이다. 그​ 러면 인공지능의 발달이 우리에게 주는 단점은 없을 다섯째, 인공지능의 오작동으로 인해 환자에게 오진을 하거나 자 까? 핑크빛 미래만 펼쳐진다면 좋으련만,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에 율자동차가 사람을 해친다면 그 법적인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지 게 걱정을 안긴다. 윤리적이고 법적인 규범이 명확치 않다. 첫째, 내가 할 일이 줄어들어 좋기는 한데 집에서 뿐만 아니라 내 일을 회사에서도 대신하니 결국 직업을 구하기가 전 보다 어려워 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자면 간단한 사무직이나, 공장에서의 기계 로 대체가 가능한 생산라인 쪽이 우선적으로 감소가 되고 있다

인공지능의 축적된 데이터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AI가 다양한 성격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인간과는 달리 단일 어떤 문제를 풀어야하는지, 어떤 것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능력 한 기능 수행에 최적화되어 있다는 사실 역시 한계점으로 지적되 은 없다. 기계는 기계일 뿐이고 인공지능에게 명령을 하는 것은 ' 고 있다. 예를 들어, 수 많은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학습해온 AI 알 사람'이다. 인공지능 개발자가 어떤 명령을 하느냐에 따라 인공지 고리즘을 활용해 음성 인식을 수행하려 할 경우, 다시 음성 인식에 능 성향이 달라질 수 있고,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 특화된 학습을 시작해야 한다. 앞서 축적된 데이터와 새로 입력되 기 인공지능이 사용하는 것은 늘 경계가 필요하다. 기술의 발달로 는 데이터의 성질의 다를 경우, 기존의 학습 결과는 아무런 의미가 삶의 질은 향상되고 산업은 발전할 수 있지만 그로인한 오용과 오 없기 때문이다. 즉, AI는 인간과는 달리,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점 작동 등에 대한 대책 마련이 동반하지 않는다면 수많은 문제들이 진적인 학습이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일어나게 된다.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긍정적 영향을 극 지금까지 AI의 장점과 한계점을 알아보았다. 날이 갈수록 똑똑해 대화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는 AI 덕분에 머지 않은 미래, 우리는 최소한의 개입만으로도 업 무를 빠르게 처리하고, 보다 편리한 일상을 누리게 될 전망이다. AI 기술의 활용에 대한 법적 윤리적 규범이 명확하게 마련되지 않 하지만, AI로 인해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는 그 누구도 정확히 예측 았다는 사실 역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 할 수 없는 만큼, 우리는 이러한 기술적 진화로 인해 야기될 수 있 다. 그대로 주행하면 보행자가 죽고 피하면 탑승자가 죽는 돌발 상 는 모든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사전 지식 없이도 새로운 황에서 자율자동차가 사고를 일으킨다면, 혹은 환자에 최적화 된 사실을 발견하고 예측하지 못한 변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 치료법을 도출하는 AI 시스템이 오진을 내려 환자가 피해를 입는 간의 능력을 더욱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다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할까?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행동 방식을 설계하는 제작자? 인공지능의 판단에 대해 법적·윤리적인 논의 즉 AI가 똑똑해질수록 인간이 직접 수행해야 하는 행위는 점점 줄 가 반드시 요구되는 이유다.AI가 인간의 지시 없이는 시작과 종료 어들지만 반대로 인간의 역할은 더욱 더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 시점을 스스로 정할 수 없고 결과에 대해 ‘잘 했다’, 혹은 ‘못 다. AI가 인간 사회의 철학적, 주관적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했다’는 판단을 내릴 수 없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다시 말 없는 만큼, AI라는 훌륭한 도구를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유 의지 해, AI는 우주의 원자 수보다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는 바둑 가 없는 AI의 행동 방식을 규범화하고 인간이 원하는 기술적 진화 경기에서 인간을 누를 정도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능하 를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력과 도덕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인간 지만,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스스로 정의하는 능력은 가지고 의 지능, 역할, 능력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통해, AI 기술의 활용성 있지 않다. 자유 의지가 없는 AI의 행동 방식을 규범화하고 AI를 을 더 높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인간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지는 이유다. 출처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http://www.digitaltoday.co.kr)

CM 완공현장 진천 창작스토리 클러스터 스토리창작클러스터는 창작인들의 다양한 작품 활동을 위해 집필과 교육, 자료 수집, 정보 교류 등을 할 수 있는 전국 최초의 융합형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고 전문학보다도 웹툰이나 웹소설, 영화 시나리오 등 최근 경향에 맞춘 장르를 지 원한다. 스토리는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좋은 콘텐 츠를 만드는 핵심자산으로써 스토리창작클러스터를 통한 이야기 산업 육성은 지역콘텐츠 산업의 축이다. 사업기간 : 2017년 ~ 2021년 사업규모 : 부지 87,596㎡, 건축 5,227㎡ 사업내용 : 집필시설, 교육 연수시설, 게스트하우스, 태양광시설

스토리 창작 클러스터가 충북 진천에 조성된다 . 스토리 창작 클러스터 사업은 소설 , 드라마 , 시나리오 , 만 화 등 이야기 창작 관련 작가들의 집필공간을 만들고 , 이야기 관련 콘텐츠의 산업화를 위한 정보 교류 , 교 육 , 연구 시설 등을 설치하려는 것으로 , 국비가 절반 지원되는 ` 반국책 ' 사업이다 . 이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전체 사업비 (229 억원 ) 의 50% 를 지원하고 , 충북도가 25%, 시 · 군이 25% 를 부담한다 . 애초 2012 년 제천시가 낙점돼 청풍면 교리 산 26-6 일대 7 만여㎡에 집필실 10 동 , 교육 · 연수시설 4 동 , 숙박시설 4 동 등을 조성하려 했지만 시의회 등의 반대에 부딪혀 3 년여 만에 사업을 포기 했다 . 이에 따라 충북도는 후보지 재공모에 나섰고 , 보은군 , 옥천군 , 진천군 , 단양군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 충북도는 문화관광 · 영상산업 · 지역개발 등 각 분야 전문가 11 명으로 평가위를 꾸려 △접근성 △조기 착공 가능성 △사업 성공 가능성 △기관장의 의지 등 6 개 항목을 평가해 최고점을 받은 진천을 최종 후보 지로 뽑았다 . 진천군은 이월면 송림리 일원 6 만 5548 ㎡의 터에 스토리 창작 클러스터를 조성하였다 . 이제 문학작가들의 창작 요람이 될 충북 진천 스토리창작클러스터가 올해 모습을 드러냈다 . 겨울철 공사 중지 상태에서 . 해빙되는 대로 공사를 재개해 준공하였다 . 이곳에는 스토리 창작 관련 교육과 연수 프로그 램을 운영할 교육동 ,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 참가자를 위한 숙박동 , 창작인들이 작품 활동을 할 집필동 (2 개 동 ) 이 들어선다 . 집필동에는 15 명의 작가가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진다 . 건물 전체 입 면 행태는 충북도 유형문화재인 1000 년의 돌다리 농다리 ( 진천농교 ) 를 닮는 등 지역의 정체성이 녹아들 어 눈길을 끈다 . 스토리창작클러스터는 관리 · 운영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8 월께 완료되면 운영 전략과 시설별 운영계획 , 홍보 · 마케팅 전략 등 구체적인 사업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 스토리창작클러스터는 창작인들의 다양한 작품 활동을 위해 집필과 교육 , 자료 수집 , 정보 교류 등을 할 수 있는 융합형 클러스터다 . 웹툰이나 웹소설 , 영화 시나리오 등 최근 경향에 맞춘 장르 중심으로 지원한다 .

별빛이 선명한 숲속에 둥지를 틀고,창작의씨앗을키운다 하지만 주변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에다 현재 작가들의 입주가 더디고, 찾는 관광객도 찾아보기 힘들어 진천군의 고심이 깊어진 상 황이다. 송 군수는 “스토리창작클러스터는 단 1원의 수입도 나지 않는 곳이다. 창작클러스터만으로는 활성화가 어렵다는 게 군의 판단”이 라며 “이곳에 MTB 등 레저스포츠와 숙박 시설, 음식점 등을 포함해 개발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연구 용역 발주 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스쳐가며 정체된 스토리창작클러스터가 아닌 머물고 즐기는 즉, 문화와 레저스포츠, 건강한 먹거리에다 치유와 힐링까지 아우르는 곳으로 재구성하겠단 것으로 읽힌다. 이처럼 개관과 함께 골칫덩이로 전락한 스토리창작클러스터 가 송 군수의 의지대로 레저스포츠 등 종합 관광단지로 재구 성될 경우 수도권과 인근이라는 점까지 보태져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레저스포츠에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고, 도시가 아닌 시골의 정취나 먹거리 를 그리워하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군에 따르면 현 진천 스토리창작클러스터엔 이야기 창 작자 육성을 위한 집필시설(집필동 2동), 다양한 프로그램 참 가자 등을 위한 교육·연수시설(교육동 1동), 숙박시설(숙박동 1동) 등이 들어서 있다. 교육동은 스토리 창작 관련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창작자 지원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췄다. 강당과 세미나실, 소 회의실, 미디어룸, 전시판매공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일정 기간 체류·숙박이 필요한 교육·연수 프로그램이나 워 크숍 등의 참가자를 위한 숙박 공간인 숙박동은 2인실과 4인 실 8개씩 최대 48명이 머물 수 있다. 집필동은 스토리 작가를 위한 독립된 공간으로 1인실(12개) 과 4인실 규모의 다인실(2개), 작가 전용 커뮤니티라운지 등으 로 꾸며졌다.군은 당초 스토리창작클러스터가 본격적으로 가 동·운영될 경우 지역 주민의 문화 수준을 높이고 문화 예술 향유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봤다. 특히 2021년 문을 연 생거진천 치유의 숲, 인접한 송림저수지 와의 연계를 통한 진천군 대표 힐링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것 으로 기대했으나 현재 상황은 녹록지 않은 상태다.

창작을위한 공간 K-CONTENTS산업 미국인의 10명 중 3명은 최근 3개월 내 한국 콘텐츠를 소비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콘텐츠 소비 경험이 곧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경향도 함께 나타났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 '미국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1' 에 따르면 미국 거주 15~5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온 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32.4%가 최근 3개월 내 한 국 콘텐츠를 소비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백인층에서의 이용 경험률은 23.4%에 불과하나, 그외 히스패닉은 49.1%, 흑인은 44.0%, 아시안은 53.8%의 높은 이용 경험률을 보였다. 특히, 한국 콘텐츠를 접한 후 한국 문화에 관한 관심이 증가했 다 답한 비중은 65.1%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50 대, 인종별로는 흑인층에서 평균을 상회하는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10대(54.4%), 20대(67.1%), 30대(63.2%), 40대(70.3%), 50대 (70.8%) 응답률을 보였고, 인종별 응답으로는 백인(62.5%), 히 스패닉(66.7%), 흑인(71.0%),아시안(60.7%)로 조사됐다 K팝으로 불리는 음악 콘텐츠는 주 평균 2.9시간 청취하는 것 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론 히스패닉(3.4시간), 흑인(3.1시 간), 백인(2.7시간), 아시안(2.5시간)의 청취율을 보였다. 유튜 브(58.1%), 스포티파이(34.0%) 등 채널을 통해 주로 소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동영상 콘텐츠 청취 시간은 주 평균 3.4시간으로 나타났다. 흑인(3.7시간), 히스패닉(3.4시간), 백 인(3.4시간), 아시안(2.9시간) 순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소비 채널로는 넷플릭스(54.3%)와 유튜브(46.9%)가 큰 비중을 차 지했다.

영상콘텐츠 아카이브는 드라마 및 영화 등 영상콘텐츠 자료를 DVD, VHS TAPE, 음반, 도서 등 다양한 형태로 수집·보관하고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영상콘텐츠를 장르, 주제, 시대, 지역·국가, 배우, 감독 등 다양한 키워드별로 자료를 구축·관리하여 창작자 및 기획·제작자들 에게 효율적인 자료의 접근 및 활용을 제공함각 지방의 공공도서관, 문화센터 및 일반문화 예술기관, 교육기관과 연계는 물론 해외유사기관 및 문화예술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최신정보를 수집·축적·공급한다. 자료를 디지털화하고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여 집필실 등 영상콘텐츠창작클러스터 내부네트워크를 통해 아카이브 자료에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 자료에 한해서 외부에서도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역 내 영상창작센터로서 국내외 영상분야 정보자료를 결집하고 정보로 처리하여 통계화함으로써 국내 영상창작인력에 대한 자료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의 드라마 대본 DB구축 사업, 한국영상자료원 등과 연계하여 효율적 인 영상콘텐츠 DB화 시스템을 마 련하며, 영상창작클러스터 내에서 디지털화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고 축적하는 허브로서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SEON SEON ARCHITECTURE & ENGINEERING

CM STORY 행복주택 CM 현장

LH 행복주택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이달 11일부터 행복주택 1780호에 대한 청약접수를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행복주택은 대학생·청년·신혼부부 등 젊은층에게 시세 대 비 60~80%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되는 임대주택이다. 이 번 공급대상은 수도권 4곳(1594호)과 지방권 4곳(186호)로, 전국 8개 지구 1780호다. 입주자모집 공고는 지난달 30일 이뤄졌다. 수도권 4개 지역에는 신혼희망타운 행복주택과 중소기업근로 자 행복주택, 청년·신혼부부 및 고령자 등을 위한 일반형 행 복주택이 공급된다. 지방 3개 지역에는 일반형 행복주택이 공 급된다. 주요 단지로는 시흥장현 신혼희망타운 행복주택과 화 성동탄2 중소기업근로자 행복주택 등이 있다.

LH 행복주택 저렴하고 새로운 주거환경을 찾는 젊은층에게 인기가 높은 행복주택

시흥장현 A-9(410호) 신혼희망타운 행복주택은 특급 교통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단 수시회의 망과 행정타운까지 모두 갖춘 시흥장현 지구 내에 위치한 다. 서해선 시흥능곡역(1.7㎞), 시흥시청역(1.7㎞) 및 광역 버스를 이용해 서울과 수도권 주요지역으로 접근 가능하다. 향후 월판선 장곡역(2025년 예정), 신안산선(2024년 예정) 개통으로 대중교통 접근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공주택 설계공모를 통해 선정된 주택인 만큼 ‘ㄷ’자 형태의 열린 공간 디자인 콘셉트로 설계된다. 서환식 LH건설임대사업처장은 “다양한 유형의 행복주택 을 올해 하반기 전국 57개 단지 약 1만7000호를 공급할 예 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다 보니 현장에서는 새로운 타입의 설계와 컨셉으로 일반적인 아파트와의 차별화된 건축 방식 으로 공정이 다소 늦어지기도 하고 어려운 시공방식과 구조 로 새로운 환경의 건축은 시공업체와 감리업체를 힘들게 하 는 요소가될 수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설계와 접근은 앞으로 주거환경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어 주거시설의 발전 을 가져오길 기대해 본다.

차별화된 주거형태에 대한 새로운타입을 제시하다 이규원 / 감리단장 • 이규원 감리 단장의 책상 앞에 뭔가 이상한 것이붙여있다,‘줄탁동시'라는 사자성어가 월간공정회의를 통한 공정계획 및 실적을 관리 있다. 병아리와 어미닭이 알의 안과 밖에서 하며, 부진한 공정에 대하여 만회대책 등을 통하 부리를 모아 동시에 껍질을 깨는 것을 뜻한 여 아파트 동 세대 및 부대시설, 내 외부 마감공 다. 병아리가 나오려고 알 껍질 안에서 꿈틀 사가 일부 완료되었으며, 시공 관리설계도서 검 대며 부리로 톡톡 치면, 초조하게 예쁜 새끼 토하고 시공계획서 및 시공상세도 사전확인 검 가 나오기를 기다린 어미 닭은 그 소리를 듣 토하여 검측지침서를 기준으로 시공관리를 하고 고 병아리가 잘 깨고 나올 수 있도록 껍질을 있습니다. 각 공종별 공정에 따라 수시 확인 및 조금 쪼아주는 것이다. 껍질을 경계로 두 존 검측을 실시하여 설계도서대로 시공을 확인하고 재의 힘이 하나로 모아졌을 때 새로운 세상 샘플세대를 시공하여 마감 공사에 대해 시공오 이 만들어진다는 이 비유는 결국 이 세상은 차가 없도록 검측업무를 철저히 하고있습니다. 혼자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타인의 관 자재 및 품질관리자재 선정 승인자재를 사용하 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며, 현장 반입자재에 대한 검수를 실시하고, 견 본주택 사용자재와 동일여부와 시험성과 대비표 를 작성 확인 하고있습니다. 수시로 현장주변을 확인하여 환경문제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현장 내 분진발생에 대비하여 수시로 살수 등 을 실시하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등 적법 한 절차에 따라 처리하고있습니다. 근로자 안전 교육은 특별교육 및 신규자 교육 등 관련 규정에 적합하게 실시하였으며, 현장을 수시점검 및 정 기점검을 실시하고 위험요소 발견 시 즉시 안전 조치 하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LH 행복주택

VIEW 건축설계 충주 중앙탑고등학교

충북 충주시 서충주신도시에 위치한 중앙탑고등학교가 10일 개교식을 갖고 새역사를 시작했다. 중앙탑고는 서충주신도시 내 주민들의 열망으로 설립이 추진됐으며 지난 2019년 중앙투자심사에서 일반학급 24 학급과 특수학급 1학급으로 총인원 600명의 일반고로 설 립인가를 받았다. 지난 2021년 3월 공사를 시작해 총사업비 319억6000만 원을 들여 연면적 1만4582㎡, 건축면적 1만2102㎡ 규모 로 건축됐다. 충주시청, 충주교육지원청, 한국교통대 등 3개 기관과 업 무협약을 맺고 지 다양한 교육활동 운영을 위한 추가예산, 우수 교원 유치를 위한 컨설팅 및 주거 여건 제공, 학생 맞 춤형 진로 설계를 위한 대학 연계 활동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지난 3월 1학년 9학급 177명이 입학해 수업 중이며, 학생 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학생 맞춤형 프로 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변화하는 학교환경 학교시설 복합화는 생활SOC를 학교시설에 복합적으로 설 치·운영해 토지·건물 등 제한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각종 프로그램을 시간적·공간적으로 학교와 지 역사회가 공유함으로써 학교가 지역주민 삶의 중심적 역 할을 수행하고 지역 공동체 중심시설로 기능토록 하기 위 함이다. 이러한 학교시설 복합화는 도보 또는 차량에 의 한 접근성과 생활SOC의 용도에 따라 마을 단위 또는 지역 단위에서 각급 학교와 복합적 설치·운영을 설정할 수 있 다. 학교복합시설은 복합시설 용도에 따라 학생과 주민을 위해 다양한 편익을 제공한다. 학생은 학교에 없었던 대 형 체육관, 실내수영장, 도서관, 음악실 등 특별교실을, 지 역주민은 건강·문화·예술·체육 분야의 각종 프로그램 또는 강좌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보육의 공공성 강 화를 위해 학교에 공공어린이집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지고 있는데, 특히 병설유치원이 있는 학교의 경우에는 영 유아, 아동, 청소년, 청년, 중년, 노년 등 생애주기별로 공 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신도시의 신설학교, 그리고 지역 공동체 중심시설로 거듭나는 기존학교 신설고등학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충주시청·충주교육 지원청·한국교통대학교가 업무협약을 맺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다양한 교육활동 운영을 위한 추가예산 지원, 우수 교원 유치를 위한 컨설팅 및 주거 여건 제공, 학생 맞춤형 진 로 설계를 위한 대학 연계 활동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지난 3월 6일 1학년 신입생 177명과 교육활동을 시작한 이 래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세계시민으로서 지구촌의 문제를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춘 학생으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 환경', '생태와 환경' 또는 '인간과 환경', '지속가능발전 탐구'를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해 교육하고 있다. 윤건영 충북교육감은 \"중앙탑고등학교의 비전인 '지역과 상생 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도하는 세계시민'은 배움이 가정과 사회로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충북교육과 맥을 같이 한다\"며 \" 중앙탑고가 충주의 중심으로 비상해 우리나라와 세계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는 지혜의 산실이 되길 소망한다\"고 축하의 말 을 전했다.

25개 학급 600명 일반고 설립인가 학생 만족도 높일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

우리에게 ‘학교’라는 공간이 갖는 의미는 단순히 ‘교육 그러나 선진국 진입과 경제성장의 둔화, 수차례의 경제위 서비스가 재화와 교환되는 장소’ 정도가 아니라 인생의 전 기 등을 겪게 되면서 우리는 교육이라는 수단이 과거처럼 반기에 ‘사회적 사람’으로서 성숙해질 수 있는 ‘과정’ 신분 상승을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 을 제공해 주는 장소. 즉 그곳에서 사람끼리 관계를 형성하 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도 부모들의 꺾이지 않는 교육열 고,꿈을 찾아서 그것을 쫓는 방법을 배우고, 재미와 열정을 에따른 사교육비의 과다한 지출, 고령화에 따른 실업률의 발견하는 등 ‘삶의 다양한 경험을 시작하는 출발점’이라 증가, 여성 경제활동인구 증가 등의 원인으로 출산을 기피 고 말할 수 있다. 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출산율이 0.78명으로 세계 최저 수 과거 경제발전이 가장 중요했던 개발 도상국 시기에서의 준의 저출산 국가 되었으며, 결국 이로 인하여 학령인구의 학교는 이런 감성적인 부분과는 거리가 먼 도시기반 시설 감소로 과거 베이비붐 시대에 확보되었던 학교시설에 유 의 일환으로 관리돼 왔으며, 동일한 계획 기준에 의하여 휴공간이 증가하게 되었다. 설치·운영되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가 학교에 입학하던 학교 통폐합 논란의 관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학령인구 감 시기에는 오전반과 오후반으로 공간의 부족함을 메우고 소와 교육재정 부족 현상에 따라 학교를 통합해 모든 학생 의무교육과 진학이라는 단순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게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야 된다는 의견과 소규모 학교 존재하였다. 도 학교 전통과 상징성에 따라 별도의존재 가치를 갖는다 는 입장으로 나뉜다.



학교시설복합화는 이제 학교가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장이자 마을공동체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의미한다 이처럼 신도시에서는 도시 설계 단계부터 학교 복합화시설을 광명시에서도 학교시설복합화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건립해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효율적인 공간 활 있다. 시는 정부의 생활 SOC 확충 계획에 따라 광명동초등 용이 가능하다. 최근 개발이 마무리된 시흥시 배곧 신도시의 학교와 경기항공고등학교의 학교시설복합화를 추진하고 있 배곧누리초등학교 내에도 학교복합화시설 ‘배곧너나들이’ 다. 학교 부지 지하에 주차장을 만들어 주변의 주택 밀집지 가 들어섰다. 지난 9월 개관한 배곧너나들이의 내부에는 북카 역 주차 문제를 해결하고, 지상에는 대공연장, 시청각실, 무 페, 도서관, 건강검진실, 육아카페, 동아리실 등이 설치돼 학 용실 등이 들어서는 복합시설을 조성해 시민들이 함께 어울 생들에게는 교육공간을, 주민들에게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 려 생활하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학교시설 게 됐다. 복합화는 이제 학교가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장이자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것은 미래사회에 맞는 교육 방식으로 마을공동체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꾼다는 의미”라고 화답했다. 최근 광명교육지원청, 광명동 이처럼 학교는 지역의 학교 역할과 주민의 공간이 통합된 초등학교와 함께 MOU를 체결한 광명시는 오는 2021년까지 공간으로 변모하기 때문에 학교 공간의 공간계획은 현재의 학교복합화시설을 완공할 계획이다. 계획이 아닌 미래와의 싸움으로 변모할 것이다.

JUNGANG TOP 현재 신도시에서는 도시 설계 단계부터 학교 복합화 시설을 건립해 부지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VIEW 건축설계 경기도 광주 수영장 및 물놀이 시설 실내 수영장과 Waterpark를 통합한 시민 스포츠 시설 Integrated indoor professional swimming pool and outdoor sports Competitive Gwangju Civic Sports Town Facility ​ 경기도 광주 실내수영장/ 물놀이시설 DESIGN/ 2019 LOCATION/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양벌리 36-1 USE/ 운동시설 (수영장) AREA / 4,595 M2 FLOORS / B1/F3 CLIENT/ 경기도 광주시

Gwang-ju Swimming Pool & Water park 도시 건축의 외피에 대한 건축적 활동의 소고 세상을 이루는 모든 것들을 확대하여 살펴보면 미세한 단위 들의 반복적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물 또한 많은 부재 들의 조합과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에서 나타나는 반 복의 개념은 예술적, 철학적으로도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 다. 하지만 건축에서의 반복성은 단순히 예술이나 철학의 개 념만을 가지고 설명될 수 없다. 건축은 예술적 창조성과 현실 의 기능성을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비건축적 재료의 사용을 통한 물성의 변화들은 현대 건축의 여러 특징과 변화들이 다양하게 반영되어 공간, 구조, 형태, 재료 등과 같은 요소들과 접목되어 외피에 잘 나타나고 있다. 이미지, 사진, 텍스트 등을 구축속으로 끌어들여 다양한 재료 의 물성의 변화를 통해 색상, 기술적인 변형 등으로 구축된다. 반복된 이미지들로 구성된 외피는 하나의 캔버스로 인식하게 되며 , 건축의 사용자에게 예술적인 즐거움과 활기를 주는수 단이 된다. 반복적인 착시현상을 통해 건축물 공간의 안과 밖의 영역의 경계를 허물고 모호하게 만들어 주변과 자연스럽게 동화시켜 건축물과 이용자들 간의 커뮤니티가 이루어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는 건축 표면의 외부에서 이미지 프린팅 및 재료의 천공, 구김 , 부식 실크스크린 등을 시도하고, 표면 내부에서는 생 활하고 활동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외피를 통해 나타나게 함으로서 주변의 요인 및 정보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화를 형성한다.

반복된표피의 날개 수영장은 어린이들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는 공 간이다, 전혀 다른 개성을 지닌 건축의 표피는 멋 진 앙상블을 빚어낸 점에 있었다. 수영장이라는 건축 본연의 생명력에 충만하면서도 야외 물놀이 장의 개장과 함께 외부 환경과 조화를 위해 노력 하고 있다 A Study on the Exterior of Urban Architecture If you zoom in on everything that makes up the world, it consists of a repetitive combination of fine units. Buildings are also made up of many combinations and repetitions of members. The concept of repetition in architecture has many artistic and philosophical meanings. However, repeatability in architecture cannot be explained simply with the concept of art or philosophy. Architecture is a discipline that requires consideration of both artistic creativity and the functionality of reality.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through the use of non-storage materials reflec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modern architecture and are well reflected in the outer skin by being grafted with elements such as space, structure, shape, and materials. Images, photos, and texts are drawn into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ed in color and technical deformation through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materials. It is also the distinction of boundaries through repeated images. The envelope, composed of repeated images, is recognized as a canvas.

Through this optical illusion, the boundaries of the inside and outside areas of the building space are torn down and blurred, and naturally assimilated with the surroundings to play a role in forming a community between the building and users. Image printing, material punching, creasing, etc. are attempted outside the surface, and the movement of people living and working inside the surface is shown through the outer skin, thereby forming an interface that shows surrounding factors and in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and digital technology, nonlinear design is pursu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since the 2000s, structures and cladding are combined in nonlinear form, and new designs are intended to be used to inform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with lighting and color.

Gwang-ju Swimming Pool & Water park

수영장은 지상 2층에 탈의실을 마련하고 긴 통로를 통해 1층 풀로 접근하게 했다. 수영장 외에도 다목적 실내체육관과 피트니 스센터 등 다양한 주민체육시설을 품고 가야 했기 때문이다. 핵심은 역시 수영장인데 물, 빛, 소리가 어우러진 환상의 공간이었 다. 탈의실에서 수영장으로 내려가는 통로를 걷다 보면 2m 높이의 가림막을 통해 어렴풋이 그 짜릿함을 나눠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영장에 내려섰을 때 만나는 풍광. 아이들이 물에서 텀벙거리는 소리, 7m 높이의 천장에 있는 6개의 자연채광창을 통 해 흘러들어오는 햇빛, 그리고 콘크리트 루버를 통과한 햇빛이 일렁이는 물결…. 게다가 나무들이 서 있는 중정과 잔디밭으로 연결되는 유리창까지 접하게 되면 야외수영장 느낌까지 만끽할 수 있다. 다만 수영장 운영자들이 설계자의 의도를 제대로 살리지 못해 블라인더로 자연채광을 막고 지하수영장에나 있을 법한 인공조 명등으로 이를 대신한 점이 아쉬웠다. 빛과 물, 소리, 그리고 자연과 인간까지 어우러지는 수영장이라는 모토에 걸맞은 운영이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WE2023 상반기소식정리 2023년 설계본부 체육대회 2023년 5월 12일(금) 07:50 ~ 18:00 트래킹(괴산군 산막이옛길) / 괴산군 사리면 모래 재로 646-8 (보광산 관광농원) 건설사업관리 워크숍 1 2023 . 02 . 24 . ( 금 ) 13 : 30-17 : 15 장소 : 수동 회의실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인 그룹 건설사업관리 워크숍 2 2023 . 02 . 23 . ( 목 ) 10시 수 동 회 의 실 건축 52명 (2022. 01. 20 - 현재까지 입사직원) 1.입사직원워크숍 2.건설사업관리인 단장 워크숍 2023 설계본부 워크숍 HEALING WORKSHOP 2023년 02월 17일 ~ 02월 18일 HEALING WORKSHOP 코로나로 지친 일상을 회복하고 직원들간의 소통과 화합을 통한 팀워크를 구축하여 발전적인 회사 미 래비젼을 목표로 긍정적 마인드의 동기부여를 이루 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드는 ‘힐링 워크샵’

SEON 제4회 정보통신부서 워크숍 일 시 : 2023. 03. 17.(금) ~ 2023. 03. 18.(토) 장 소 : 좌구산 휴양랜드 (증평군 증평읍 솟점말 길 107) 참석자 : 건설사업관리본부 통신부서 18명 기계 설비부 워크숍 일시:2023.3.25~26 장소: 문의청소년수련원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대청호반로 751-56 청주시청소년수련원) 소방부서 워크숍 소방 부서 워크숍 계룡산의 아침 일시: 2023.4.7~8 장소: 계룡산의 아침 (펜션) 전기부서 워크숍 속리산의 정기 일시: 2023.4.7~8 장소: 속리산호텔​ ​ 토목/조경부서 워크숍 일시:2023.5.12~13 장소: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대청호반로 751-56 / 청주시청소년수련원 ​

PHOTO 한컷 2023년 설계본부 체육대회 2023년 5월 12일(금) 07:50 ~ 18:00 트래킹(괴산군 산막이옛길) /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로 646-8 (보광산 관광농원) 설계본부 체육대회 MVP수상 사진입니다. 여러 동료 직 원들이 수상자를 축하해 주시네요. 즐거운 체육대회 사 진이었습니다. 여러분 모두 축하하고 응원합니다. SEON SEON ARCHITECTURE & ENGINEERING


Like this book? You can publish your book online for free in a few minutes!
Create your own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