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3. 수업 전개 계획S# 온/오 활동 시나리오 활용 도구 [전시학습 확인] 1. 열의 이동 방법을 확인한다. [학습 동기 유발] 1. ㈜에코인프라홀딩스의 초슬림형 내열 단열 재의 종류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단열 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S#1 Off 동기 PPT 유발하기 2. KBS 뉴스 영상 시청을 통해 아파트에 적 용한 단열방법을 생각하게 한다.S#2 Off/ 학습목표 [학습목표 확인] PPT On 제시하기 PPT 1.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큰 소리로 읽게 한다. [학습순서]S#3 Off 학습순서 1. 효율적인 단열재 찾기 탐구활동 안내하기 2. 탐구 결과 발표 3. 학습 내용 정리 및 커뮤니티에 저장하기 www.gne.go.kr • 47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S# 온/오 활동 시나리오 활용 도구S#4 On 본시학습 활동하기 [본시 학습 활동] PPTS#5 Off/ 1. 효율적인 단열재 찾기 탐구 활동 디지털 교과서 On 정리 및 2. 탐구 결과 및 결론 디지털 교과서에 기록하기 서책형 교과서 평가하기 3. Screen mirroring을 이용해 탐구 활동 결과 PPT 및 디지털 발표하기 교과서 4. 단열과 폐열 정리하여 학습커뮤니티에 저장하 서책형 교과서 기 [학습 내용 정리] 1.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한다. 공기는 열의 전도가 매우 느린 물질이다. 따라서 공기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솜의 온도변화가 가장 작다. 효율적인 단열재 : 공기를 많이 포함한 물질 단열과 폐열 [평가 활동] 1. 이번 시간에 배운 학습 개념을 주어진 문제를 통해 확인한다. 차시예고 1.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확인한다.S#6 On 및 수업 2. 1. 같은 열을 가해도 온도가 달라(교과서 217 PPT 마무리 페이지)48 • 경상남도교육청
4. 교수-학습 지도안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 단계 교수-학습 활동 활동 전략 및 유의점[교사활동] 흰색 도료와 알1. 전 시간에 배운 열의 이동방법을 확인한다. 루미늄 호일 위2. 다음 영상을 보여주고 어떤 실험인지를 질문한다. 에 있는 얼음의 상태 변화를 주 의 깊게 관찰하 게 한다.도입 3. 다음 영상을 보여주고 단열의 필요성과 단열 방법에(5분) 대해 질문한다. 아파트 내부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초 점을 맞추어 시 청하게 한다.[학생활동]1. 열의 이동 방법에 대해 발표한다.2. 영상에서 얼음이 녹지 않는 이유에 대해 발표한다. www.gne.go.kr • 49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단계 교수-학습 활동 활동 전략 및 유의점 [교사활동] 1.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큰 소리로 읽게 한다. 학습목표를 큰 소리로 읽게 하 1. 단열과 폐열의 정의를 알고, 그 활용 예를 찾을 여 학습 도달 목 수 있다. 표를 인지시킨 다. 2. 열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막는 재료를 찾을 수 있 다. [학생활동] 학생들이 학습순 1. 학습 목표를 큰 소리로 읽는다. 서를 잘 따라 실 행할 수 있도록 [교사활동] 주지시킨다. 1. 학습 순서를 안내한다. 효율적인 단열재 찾기 탐구활동 탐구 결과 발표 학습 내용 정리 및 학습커뮤니티에 저장하기 [학생활동] 1. 학습 순서를 확인한다. [교사활동] 디지털교과서를 1. 효율적인 단열재 찾기 탐구 활동 과정과 탐구 과정에서 활용하여 탐구활 동 과정을 소개 주의할 점을 설명하고, 탐구 결과를 디지털 교과서에 기 한다. 록하게 한다. 탐구 활동 과정 소개 -실험 장치 확인하기 -시험관에 같은 양의 뜨거운 물 넣기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서책형 및 디지털 교과서에 기록전개 하기 측정값을 서책형(30) -탐구 결과 해석 및 결론 도출하기 교과서 또는 디 탐구 과정에서 주의할 점 -비커와 시험관 사이에 신문지, 솜, 모래를 채울 때는 적 지털교과서에 기 당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게 채운다. 록하게 한다. -온도계의 구부가 시험관의 벽면이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토론을 통해 탐 한다. 구 결과를 해석 -시간측정, 온도 측정, 기록하기 등의 일을 분담한다. 하고 결론을 도 2. Screen mirroring을 이용해 탐구 활동 결과를 모둠별로 출할 수 있게 한 발표시킨다. 다.50 • 경상남도교육청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문제해결 학습단계 교수-학습 활동 활동 전략 및 유의점3.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순회 지도한다. 모둠별로 역할분 실험 장치가 바르게 되었는가? 담을 하여 과정 역할은 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는가? 을 수행하게 한 탐구 결과를 서책형교과서 및 디지털교과서에 기록하고 다.있는가? 토론을 통해 탐구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가?4. 단열과 폐열에 대해 PPT를 활용해 설명하고, 설명 내용 보온병의 보온 을 디지털 교과서에 기록하게 한다. 효과 원인을 열 의 이동 방법과 단열 : 열의 이동을 막는 것 관련지어 설명한 -전도에 의한 단열 : 진공 다. -대류에 의한 단열 : 진공, 마개 -복사에 의한 단열 : 반사유리 단열재 : 단열을 위해 사용하는 재료-스티로폼, 솜, 섬유 등 생활에서 단열재를 이용한 예 -아이스크림을 스티로폼 상자에 보관한다. 생활에서 이용하 -보온병을 이용하여 뜨거운 물이나 찬물을 보관한다. 는 단열재의 종 -집의 단열을 위해 이중창, 스티로폼을 벽면사이에 넣는다. 류는 학생들의 -겨울철에는 공기가 많은 솜이나 섬유로 만든 방한복을 경험(내복 착용) 입는다. 을 중심으로 설 폐열 : 발전소나 자원회수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열 명한다.[학생활동] 겨울철 에너지1. 탐구 장치를 확인하고 탐구 과정을 수행한다. 절약 실천 방법2. 탐구 결과를 서책형교과서 및 디지털교과서에 기록한 후, 을 안내한다. 토론을 통해 탐구 결론을 도출한다.3. Screen mirroring을 이용해 탐구 결과를 발표한다.4. 단열과 폐열에 대해 설명을 듣고 디지털교과서에 기록한후 학습커뮤니티에 저장한다. www.gne.go.kr • 51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단계 교수-학습 활동 활동 전략 및 유의점[교사활동] PPT를 이용하여1.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학습한 내용을 공기는 열의 전도가 매우 느린 물질이다. 정리한다. 따라서 공기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솜의 온도변화가 가장 작다. 효율적인 단열재 : 공기를 많이 포함한 물질 단열과 폐열[학생활동]1.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자신의 자료와 비교하여 다시 정리 한다.2. 단열과 폐열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교과서의 노트에 기록정리 하고 학습커뮤니티에 전송한다.(10) [교사활동] 디지털교과의 개1. 디지털교과서 개념 확인 문제를 제시하고 정답을 발표하 념평가를 이용하게 한다. 여 개념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안 내한다.[학생활동] 차시 단원을 확1. 개념 확인 문제의 정답을 발표한다. 인한다. 다음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확인한다.1. 같은 열을 가해도 온도가 달라(교과서 217페이지)52 • 경상남도교육청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운영계획 최 용 만 (도교육청 과학직업과)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운영계획 최 용 만 (도교육청 과학직업과)1. 목적 ○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반 조성을 위한 미래교실의 표준안 제시 ○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2. 추진 근거 ○ 경남교육 2015(경남교육 2014-186) ○ 2015. 경상남도교육청 정보화 시행계획(재정정보과, 2015.3.5.)3. 방침 ○ 지역 및 급별 여건을 고려하여 대상학교 선정 ○ 학교의 특성과 환경에 적합한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구축 ○ 스마트교육 수업 역량을 기르기 위한 연수 강화 ○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스마트교육 수업 모델’ 개발 및 적용 ○ 교육지원청과 협력하여 사업 추진 성과 제고 ○ 2015년 도교육청으로부터 4천만원 이상의 지원을 받는 학교는 제외4. 2015.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공모 내용구분 내용 비고대상학교 5개교(초·중학교 공모) 규모에 따른 차등지원 지역 및 급별 고려지원예산 교당 70,000천원 내외 향후 지속적으로 운영선정방법 공모에 의한 계획서 심사운영기간 2015. 3. ~ 2016. 2.(1년) 무선인터넷환경(스쿨넷무선접속서비스)구축내역 교사·학생용 단말기(태블릿PC) 교육용 솔루션, 영상장비 등 www.gne.go.kr • 55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구분 내용 비고운영비 운영비는 지원예산의 10% 이하 집행 http://gnedu.net → ICT활용교수학습과정안수행내용 학교별 세부 실천 계획 수립 무선인프라 구축, 자체연수 대상학교 : 붙임 참조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구안 및 적용 교수·학습지도안 및 수업동영상 탑재 e-교과서 평균 용량 0.8G 모델학교 운영 결과 보고회 참가 디지털교과서 평균 용량 기구축교는 스마트교육 지역거점 역할 1.5G기구축교 교수·학습지도안 및 수업동영상 탑재 온라인 전송 대상 교과목 - 초등 3~6학년 영어 듣기자료기타 - 중학교 1~3학년 영어 e-교과서 - 초등 3~5학년 사회·과학 디지털교과서 - 중학교 1학년 사회·과학 디지털교과서5. 추진 일정순 일자 내용 비고 학교, 지역교육청1 3월 초 공모계획 알림 [서식1] 선정위원회 구성2 3.23.(월) 공모, 계획서 접수 과학직업과 홈페이지 탑재3 3.24.~3.30. 계획서 심사 4월 수정 계획서 제출 5.10.(월)4 3.31.(화) 선정결과 발표 필요 시5 4월 학교장 및 업무담당자 연수 산출물 탑재 및 보고 도교육청, 지역교육청6 4월 예산 재배정 및 교부 [서식2], [서식3] 경과보고 및 발표회 준비7 4월~ 학교별 세부 계획 수립·추진 추후 안내 [서식2], [서식3]8 4월~ 학교별 방문 컨설팅9 ~6월 학교별 인프라 구축 완료10 4월~12월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구안·적용11 6월~12월 수시 학교 방문 점검12 8.31.(월) 상반기 추진결과 제출13 9월 중 학교 업무담당자 협의회14 11월 중 과학·수학 페스티벌 참가15 11.30.(월) 하반기 추진결과 제출56 • 경상남도교육청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구축·운영6. 주요 내용 가. 스마트교실 구축·운영의 내실화 ◦ 학교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스마트교실 구축 - 학교 여건에 적합한 스마트교실 구축 * 초등학교 : 3∼5학년 일반교실 기준 * 중학교 : 1∼2학년 일반교실과 특별교실 기준 ◦ 무선망 구축은 ‘스쿨넷무선접속서비스’ 활용 (과학직업과-14547, 2014.08.08.) ◦ 태블릿PC 구입 방법에 대한 사전 숙지 ◦ 태블릿PC 관리를 위한 솔루션 구입 적극 권장 ◦ 스마트교실 활용 능력 제고를 위한 사용자 연수 강화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전 교원의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컨설팅 및 연수 (의무사항 : 1인당 30시간 이상의 직무연수 실시) - 교과별, 학년별 스마트교육 교사 커뮤니티 조직 및 운영 - 스마트교육 소양 함양을 위한 학생 연수 및 정보통신윤리교육 ◦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 * 1) 도구활용형, 조사공유형, 참여협업형, 의사소통형, 문제해결형 - 사회·과학과를 포함한 다양한 교과의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수시 공개수업, 수업동영상 제작(10분 내외) 및 탑재 ◦ 스마트교육 거점학교 역할 수행 - 스마트교육 관련 연수 장소 제공 - 스마트교육 교사 커뮤니티 및 수업 지원을 위한 센터 역할 수행 나. 효율적 예산 집행 ◦ 예산은 반드시 스마트교실 구축·운영의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집행 - 사용 빈도가 낮거나 지나치게 고가인 기자재 구입 억제 - 학교 기존 기자재 및 비품 등을 적극 활용 - 안전관리 시설 강화 및 장애인을 배려는 구성 ◦ 사업 추진에 있어 협의회 등을 통하여 교직원 의견 적극 반영 ◦ 예산 집행에 따른 행정 지침 준수 및 공정한 집행 처리 ◦ 기자재의 가격대비 성능, 가격, 범용성 조사 등 사전 준비 철저 ◦ 지원금은 스마트교실 구축·운영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경비로 활용하며, 간접적인 경비 또는 운영비 등은 학교의 대응 투자 권장 www.gne.go.kr • 57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 ◦ 운영비는 지원금의 10% 이하 편성 사용 * 운영비 : 콘텐츠 구입비, 소모품 구입비, 수업모델 개발비, 컨설팅, 연수 및 협의회비 등 * 사용불가항목 : 인테리어, 학생·교사용 책걸상, 고가의 콘텐츠 또는 S/W, 냉·난방기, 플로터 등 스마트교육 인프라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경비 다. 예산 사용 범위 ◦ 직접적인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 스마트교육을 위한 무선망 설치, 기자재 구입 및 운영 등에 해당하는 경비 ◦ 교원의 스마트교육 실천 역량 강화 * 학교에서 주관하는 스마트교육 관련 연수, 컨설팅, 협의회 등 운영 경비 ◦ 탑재용 ‘스마트교육 수업모델’ 개발 및 제작 * 수업모델에 따른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수업동영상 제작 * 자료 개발 관련 수당 지급은 제출 또는 탑재하는 자료에 한하여 지출 가능 * 원고료 : 14,000원 기준(A4, 글자 12p, 줄간격 160, 상하여백 20, 좌우여백 25) * 영상 촬영 및 편집 수당 : 차시 당 100,000원 이하 ◦ 유의 사항 : 예산 집행 관련 지침 준수 라.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질 관리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지도를 위한 지역교육청과 유기적 관계 구축 - 교육청 담당자, 스마트교육 선도교원, 외부 전문기관의 지도 및 컨설팅 ◦ 예산 집행계획서를 제출 받아 내용 검토 및 구체적 집행지침 제공 ◦ 지원학교의 수업사례 및 사업결과보고서를 제출 받아 성과 평가 * 상반기 결과 보고서 제출 → 지역교육청 및 도교육청 합동 점검 → 경남교육박람 회 스마트교육 부문 참가 → 하반기 결과 제출 - 수업사례(교수·학습지도안, 수업동영상)를 교육연구정보원 탑재 예정 마.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운영 결과 보고회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성과보고회 실시 ◦ 대상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5교,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11교 ◦ 기간 : 2015년 11월 중(예정) ◦ 예산 : 참가학교에서 필요 경비 부담 ◦ 보고회 세부 내용은 스마트교육 컨설팅을 통해 의견 수렴 후 확정58 • 경상남도교육청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구축·운영7. 행정 사항 * 상반기 추진결과, 수업자료 제출 : 2015. 8. 31.(월) * 하반기 추진결과, 수업자료 제출 : 2015. 11. 30.(월) ◦ 상반기 추진결과 제출 - 결과보고서 [서식2], [서식3], 수업동영상 탑재 * 3개 교과 이상, 5차시 분량 * 교수·학습과정안의 본시 수업안 형식은 자유롭게 작성 * 수업 전 과정 중 주요 부분을 편집한 동영상(차시별 10분 내외) - 탑재처 : e-경남교수·학습지원센터 https://www.gnedu.net - 탑재방법 : 붙임 참조 ◦ 하반기 추진결과 제출 - 결과보고서 [서식2], [서식3], 수업동영상 탑재 * 3개 교과 이상, 5차시 분량 * 교수·학습과정안의 본시 수업안 형식은 자유롭게 작성 * 수업 전 과정 중 주요 부분을 편집한 동영상(차시별 10분 내외) - 탑재처 : e-경남교수·학습지원센터 https://www.gnedu.net * 상반기 추진결과를 포함하여 작성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담당자 밴드 가입 및 활동 ◦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담당자 연수회 및 협의회에 적극 참여 www.gne.go.kr • 59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추진 계획 최 용 만 (도교육청 과학직업과)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추진 계획 최 용 만 (도교육청 과학직업과)1. 추진 배경 및 경과 가. 추진 배경 디지털교과서 또는 디지털 교수․학습자료 제공을 통해 교실수업 개선 및 학 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66-3 : 교과서 완결학습 체제 구축 > ❖ 참고서가 없어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과서를 개발하고 디지털교과서와 연계 ◦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을 위한 연구학교 지정․운영 ◦ 가정 학습과 연계가 가능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반 조성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과 효과성 검증, 디지털교과서를 이용하기 위한 환경 조성 및 제공 나. 추진 경과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발표(’11.6.29,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교육부 공동) 및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방안’ 발표(‘13.8.13) 디지털교과서 개발 ◦ 초 3-5학년 사회․과학(국정), 중 사회①(검정), 중 과학①(인정)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 및 교실 수업환경 개선 지원 ◦ (‘14) 연구학교 13개교 운영(초 6개교, 중 7개교) □ 역기능 대처 및 효과성 검증 ◦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13.12~‘14.3) ◦ 디지털교과서 및 스마트기기 건강하게 사용하기 매뉴얼 보급(’14.8) ◦ 디지털교과서 활용 및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1차년도 : ‘14.10~’15.2) □ 교원 역량 강화 ◦ 디지털교과서 활용 역량강화 연수 실시(시군 선도교원 229명) ◦ 스마트기기 활용 관리자 직무연수, 디지털교과서 활용 원격직무연수, 디 지털교과서 이해 및 활용 원격직무연수 등 www.gne.go.kr • 63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2. 2015년 추진계획 ◦ 교실수업과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확대 ※ 연구학교 외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환경이 구축된 희망학교에 추가 제공 ◦ 초등학교 3-5학년으로 이어지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습경험 지속관찰을 위한 종단연구 참여 ※ 초등학교 2개교 학생 대상으로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 관찰, 효과성 검증 ◦ 2015 문 ․이 과 통 합 형 교 육 과 정 에 맞 춘 새로운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방 안 마 련을 위한 연 구 추진(교육부)가. 2015년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디지털교과서 적용 학년 및 교과학교급 국․검․인정 국정 검정 인정 학년 - - 사회․과학 - - 3학년 사회․과학 사회․과학 사회① 과학①초등학교 4학년 - 5학년중학교 1학년*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운영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및 학교-가정 연계 학습 지원 등의 시범 적용을 위해 연구학교 운영 -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환경 구축 지원 등 디지털교과서 활용 희망학교 지원 ◦ (희망학교)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환경이 갖춰진 학교를 중심으로 디지털 교과서 활용 희망여부를 조사하여 디지털교과서 제공 교원 역량 강화◦ (강사교원 역량강화) 디지털교과서 강사교원 학교 컨설팅 역량 강화를 위한 집합 연수(KERIS)◦ (현장 연수, 우수사례 발굴․전파)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등의 현장 연수 지원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사례 발굴 및 배포 - 디지털교과서 활용 일반학교, 교과연구회 등의 학교로 찾아가는 연수, 교과별 교사연수, 학부모 연수 등 현장 지원 - 디지털교과서 활용 창의적 수업사례 등 발굴 및 공유, 교과연구회 협력 및 운영 성과 공유 지원64 • 경상남도교육청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추진 계획 연구학교 운영 지원 ◦ (연구학교 운영 지원) 연구학교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질 제고를 위한 현황 조사․분석 및 컨설팅, 연수 및 커뮤니티 운영 ◦ (성과관리 및 공유) 연구학교 운영성과 분석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사례 및 각종 성과물 수집․분석 및 공유 ※ 에듀넷(www.edunet.net)을 통한 연구학교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동영상, 교 수․학습과정안, 연구학교 운영 결과보고서 등 공개 홍보 및 의견수렴 ◦ (디지털교과서 홍보) 과학직업과 주요 행사를 통한 홍보 ◦ (의견수렴) 디지털교과서 적용과 활용 지원에 관한 학생 및 학부모 의견 수렴 등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 및 질 관리종단연구 추진 참여◦ 연구대상 : ’14년에 이어 연속되게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학생을 주 관찰 대상으로 하여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 관찰(금호초, 어곡초) 페널별 단계별 조사시기 중2구분 2019 2018 초등 3학년 초등 4학년 초등 5학년 초등 6학년 중1초등 3학년 2014 2015 2016 → →초등 4학년 2014 2015 2016 2017 디지털교과서 수정‧보완ㅇ ‘13~’14년에 개발되어 ’15에 시범 적용되고 있는 3․5학년용 사회․과학 디지털 교과서구분 학교 교과(군) 디지털교과서 종수 및 책수 비고 사회수 정 ·보 완 초 과학 사회 3~4 ①/②/③/④ 1종 6책 ’1 4 년 부 터 초 사회 5 ①/② 시범 적용 과학 3~4 ①/②/③/④ 1종 6책 과학 5 ①/② 2종 12책 계2015 문․이과 통합형교육과정에 부합되는 새로운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방안 마련 (교육부) www.gne.go.kr • 65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3. 추진체계 교육부▪기본계획 수립 한국교육학술정보원▪예산 확보 및 행․재정 지원 (전담기관)▪교과용도서심의위원회 구성․운영 ▪사업 실무운영 총괄 (시도교육청협의회) - 디지털교과서 개발․기술업무 지원도교육청 과학직업과 - 디지털교과서 전송 및 콘텐츠 유통 - 교수학습지원체제(플랫폼 및 인프라)조성▪디지털교과서 활용 추진 계획 수립▪연구학교 선정 및 행․재정지원 및 운영▪교원 연수, 과제 추진 및 성과관리 - 연구학교 운영 지원 및 성과관리, -교과연구회, 교원연수, 컨설팅 지원 -강사교원, - 우수사례 홍보, 성과 창출 지원 등 -연구학교 관련기관 연계 단위학교 ▪NIA(연구학교 유무선 운영 지원)▪운영계획서 작성․신청 ▪스마트교육 시도협의회▪연구학교별 과제 추진 및 ▪재정정보과 : 무선망 구축 지원 성과공유66 • 경상남도교육청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추진 계획4. 소요예산 및 추진일정 소요예산구분 연도 (단위 : 천원) 특별교부금 교원역량강화(KERIS) 예산(액) 자체예산 연구학교 학습환경 구축 및 운영 지원 연구학교 운영지원(KERIS) 26,000 연구학교 운영지원(NIA) 250,500 교수학습체제 구축 및 지원(KERIS) 홍보·의견수렴, 공모전(KERIS) 10,000 39,100 소계 165,000 연구학교 지원(2013.특교 집행잔액) 13,000 503,600 디지털교과서 시범학교(대응투자) 19,226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80,000 선도교원 양성연수 353,735 스마트교육 수업자료 개발 5,720 소계 12,660 471,341 계 974,941추진일정분기 주요 내용1/4분기 ▪디지털교과서 활용 희망학교 조사(’15.3월)2/4분기 ▪연구학교 운영방안 수립 및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15.3월) ▪희망학교 대상 디지털교과서 시범적용(’15.3월) ▪연구학교 및 희망학교 컨설팅 지원(’15.5월) ▪디지털교과서 활용 현장연수 추진(’15.4~5월)3/4분기 ▪연구학교 운영성과 중간 점검(’15.8월) ▪2학기 디지털교과서 시범 적용(’15.9월) ▪디지털교과서 공모전 안내(’15.10월~12월)4/4분기 ▪연구학교 수업 공개 및 성과보고회(’15.10월~11월) ▪디지털교과서 우수사례 확산(’15.12월) www.gne.go.kr • 67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 현황(경남 11개 : 초등 6, 중 5) 학교수 계속(2/2년차) 신규(1/2년차) 비고 지역 초중 초중 초중 창원 2 1 북면초 신월중 안민초 진주 1 1 금호초 진주중 사천 1 사천중 거제 2 거제초 송정초 양산 1 어곡초 함양 1 함양중 합천 1 합천중 계 65 2 3 4 2 2015년 종단연구 참여학교 현황교육청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비고 ’13년 지정 ’14년 지정 ’15년 지정 경남 금호초 어곡초5. 행정 사항구분 제출물 제출방법 비고 2015년 연구학교 운영 계획서 공문1 ※ 개별 교사의 역할이 들어가도록 작성 학교 → ’15.4.6 도교육청 과학직업과, 공문 ※ 연구학교에서 도교육청 제출 및 운영계 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 동시 제출 공문, 전자우편 획서 에듀넷 학교별 탑재 공문2 연구학교 보고회 일정 제출 학교 → ’15.8.24 도교육청 과학직업과, 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 동시 제출3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 및 관련 산출물 학교 → ’15.12.08 도교육청 과학직업 과, 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 동시 제출4 연구학교 운영비(특별교부금) 정산 학교 → ’16.02.12 도교육청 과학직업 과, 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 동시 제출68 • 경상남도교육청
사업 예산 집행 지침 (도교육청 과학직업과)
사업 예산 집행 지침 사업 예산 집행 지침 도교육청 과학직업과1. 목적 가. 미래교실의 표준안 제시 및 교실 환경 개선 나. 디지털교과서(e-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2. 관련 가. 2015.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나. 2015. 디지털교과서 정책 연구학교3. 방침 공통 사항 가.「2015년도 경상남도교육비 특별회계 예산편성 기본방침」준수 나. 지원 예산은 인프라 구축비 및 운영비로 지출함 다. 집행 잔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관련 증빙 서류는 학교 자체 보관 라.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운영과 무관한 시설비, 일반연수비 지원, 일반 기자재 구입 금지 운영비 가. 수업지도안 자료 개발, 동영상 제작(10분 내외), 선진학교 견학, 컨설팅, 자체 연수, 협의회, 수업자료 구입, 기타 운영비 등으로 집행 나. 협의회비는 운영비의 20% 범위 내에서 집행하고, 협의회 일지 기록·보관 다. 수업지도안 자료 개발 및 동영상 제작의 수당 지급은 학교 실정에 맞게 지급 가능 라. 사용불가 항목 : 인테리어, 학생·교사용 책걸상, 고가의 콘텐츠 또는 S/W, 냉·난방비, 플로터 등 스마트교육 인프라와 직접 관련이 없는 경비 www.gne.go.kr • 71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 인프라 구축비 가. 스마트패드, 미러링 기기, 교육용 솔루션(서버용 PC 및 프로그램), 스마트 기기 충전함, 무선망 구축 등으로 집행 나. 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철저, 기구축학교 벤치마킹 권장, 협의회 등을 통하여 교직원 의견 적극 반영 다. 무선망 인프라 구축은 초등 3~4학년, 중학교 1~2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우선으로 구축 라. 무선망 인프라 구축 내용은 학교 실정에 맞게 집행 가능 마. 인프라 구축비를 운영비로 지출하는 것은 불가함 바. 무선망은 IEEE 802.11ac Wifi 기술 적용 사. 기구축 사례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 분석 및 운영 방안 도출 기타사항 가. 예산의 합목적적,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 단위학교의 예산집행 계획을 수 립하여 추진하기 바람 나. 성과 거양을 위한 수시 점검 및 컨설팅 등 지원72 • 경상남도교육청
2015.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및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연수회 발행 2015년 4월 인쇄 2015년 4월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