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Plan Architects L’eau design_Kim Dongjin Location 416-4 Gwacheon-dong, Gwangju-si, Gyeonggi- do, Korea Use Single Residence Site Area 430.5m2 Bldg. Area 217.09m2 Gross Floor Area 786.90m2 Bldg. Coverage Ratio 49.91% Gross Floor Ratio 93.27% Bldg. Scale B2, 3F Structure R.C. Floor Wood Flooring, Marble(Crema Bello) Wall Marble(Crema Bello, C- Black), Wood(IPE), Gypsum Board Ceiling Marble(C-Black), Gypsum Board Project Team Lee Sanghak, Kim Taeyeon, Park Jueun, Jung Donghui, Yoon Jihye Photo Park Wansoon 설계 로디자인_김동진 위치 경기도 광주시 과천동 416-4외 1필지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430.5m2 건축면적 217.09m2 연면적 786.90m2 건폐율 49.91% 용적률 93.27% 규모 지상 3층, 지하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바닥 우드플로링, 대리석(크리마벨로) 벽 대리석(크리마벨로, C- Black), 지정목재(이페), 석고보드 천장 대리석(C-Black), 석고보드 프로젝트팀 이상학, 김태연, 박 주은, 정동휘, 윤지혜 사진 박완순 99
Elevation100
Section 101
102
15 16 91. Elev Hall 9. Toilet2. Storage 10. Entrance 143. Mechanical 11. Terrace 12. Bedroom Room 13. Living Room4. Kitchen 14. Master Room5. Dinning 15. Dress Room6. Guest Room 16. Swimming Pool7. Laundry8. Utility 3rd Floor Plan Roof Floor Plan 3 78 4 12 11 1 9 13 6 53 9 11 12 2 10Basement 1st Floor Plan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103
104
105
106
107
The erets_Kim Hohyun건축가 / 김호현 김호현은 1975년 서울 출생으로, 2001년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졸업전시회에서 '동문회장상'을 수상하였다. 졸업 후 10년간 예천건축의 천근우 소장으로부터 수학하여 2012년 더 이레츠 건축가 그룹을 개소하였다. 예천건축에서의 시간은 건축을 향한 깊은 사고와 건축가 의 책임을 배울 수 있는 귀한 시간이었고, 더불어 지진피 해 등 해외재난지역의 방문은 그에게 건축가의 역할과 소 명을 찾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책임과 소명이 현재의 건축문화에서 신뢰회복이라는 이름으로 발전되어지기를 기대한다. Kim Ho-hyun was born in 1975 in Seoul. Graduating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 B.S. in Architecture, he received the President's Award from the Alumni Association at the degree exhibition 2011. After graduation, he worked under architect Cheon Keunwoo at Ye-cheon Architects for 10 years and established visionary architects group \"The Erets\" in 2012. Those years at Ye-cheon Architects gave him a valuable opportunity to think hard about the architecture and learn about the responsibilities of an architect. Visiting overseas disaster areas, he found his mission and role as an architect, and wishes that such mission and responsibilities would develop into the restoration of trust in the current architectural culture. 이레츠 창조주의 뜻에 맞도록 건강하고 아름답게 그 땅(erets - '땅'의 히브리어)을 사용하기를 기대하고, 그 과정에서 선한 청지기 역할을 감당하고자 한다. 건축의 신뢰 회복을 통한,‘건축문화의 혁신’을 꿈꾸는 건축가 집단(Vi.a. - Visionary Architects Group)이다. [창 37:19] 서로 이르되 꿈 꾸는 자가 오는도다.‘건축문화의 혁신’은 작은 단위의 건축작업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건축가로부터 시작하는 모든 관계와 엔지니 어에 대한 인식 변화, 그 과정에서의 정직함을 통해 건축의 신뢰 회복을 꿈꾸며 평안(Shalom)한 건축 이야기를 만 들어 내고자 한다. [누 37:19]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 를 보내사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 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하였더라. 건축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하는 작업이다. 다루는 내용도 광범위하고 좋은 선택을 하기가 만만치 않다. 때론 많은 부분을 미뤄둔 채 시간과 경제에 이끌려 돌아볼 틈을 찾지 못할 때도 있다. 우리는 첫 마음과 과정을 소중히 여긴 다. 건축가로서 더욱 전문성을 갖기를 원하고, 함께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건축과정의 기쁨(set at liberty)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꿈꾼다.
The EretsWe hope the land (\"erets\" is a Hebrew word for land) to be used in a sound, beautiful wa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Creator, and want to be a good steward for this. The Erets is a \"Vi.a\" (Visionary Architects Group) which dreams to bringabout \"the innovation of architectural culture\" by restoring trust between the client and the architects and constructors.\"Here comes that dreamer!\" they said to each other (Genesis 37:19)I believe \"the innovation of architectural culture\" should start from a small-scale work. I dream of the trust restoration inthe industry through changes in the relations surrounding an architect and in the awareness of engineers as well asthrough the restored honesty, and want to create an architectural story full of shalom.The Spirit of the Lord is upon me, Because he anointed me to preach good tidings to the poor; He hath sent me toproclaim release to the captives, And recovering of sight to the blind, To set at liberty them that are bruised, To proclaimthe acceptable year of the Lord.(Luke 4:18-19)Architecture is a team work. It deals with extensive subjects and entails tough decision making. Sometimes you have toleave many things behind and can't afford to do all things right. However, we cherish our first mind and the process. Wehope to further develop our expertise as architects and share the joy of the architectural process with those who arewith us.
Spread Housing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092-2, Cheongsu-ri, 1. Living Room 4Hangyeong-myeon,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2. Dining & Kitchen 5Area 661m2 Bldg. Area 144.71m2 Gross Floor Area 183.28m2 Bldg. 3. Master BedroomScale 2F Structure S.C.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ucoflex, 4. Room 1st Floor PlanColor Steel Plate Project Team Yoon Bohyun, Ma Jihye, Jang 5. Storage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6. Flooting DeckJeongseop, Kwon Taehun, Kang Sinseong Client Kim DonglyulPhoto CONCEPT_James Jeong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1092-2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661m2 건축면적 144.71m2 연면적 183.28m2 규모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프로젝트팀 윤보현, 마지혜,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강신성 발주처 김동렬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10
North Elevation South Elevation 4 2541 6 3 2nd Floor Plan Roof Floor Plan 111
제주 청수리 주택 When you encounter a fine view climbing a mountain, you can often stand on flat rocks to see the view better. When you find a place like this, you walk fast to, and rest there for a산을 오르다 좋은 풍경을 만났을 때 가끔 그 풍경을 좀 더 오래 보기 위해서 평평한 while. I hope this space will be such flat rocks to a family. The family recognizes a view바위를 찾아 올라서곤 한다. 그런 곳을 발견하면 걸음이 빨라져서 그 곳에 이르러 한 ranging from Mt. Halla to Mt. Sanbang at a glance, coming into a structure through piloti참동안 땀을 식히고 가곤 한다. 이 공간이 가족들에게 있어선, 그러한 평평한 바위가 space on the first floor.되길 바란다. 가족은 한라산에서 산방산까지의 펼쳐진 풍경을 한눈에 담고서, 1층의 In this entry process, they can appreciate a view through a slit of the sky and land. Standing필로티 공간을 통해 건축물로 들어오게 된다. on a large rock (living room) on the 2nd floor through a stair hall on the 1st floor, they can이 진입과정에서 하늘과 땅을 잘라낸 틈을 통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빠른 걸음으 enjoy space expressing nature with outside landscape in a frame, passing through a big로 현관을 지나 1층의 계단실을 통해 2층의 큰 바위(거실)에 올라서게 되면, 데크와 window connected to deck. As the name of project 'spread housing', the architectural form연결된 큰 창을 통해 바깥 풍경이 프레임 안으로 들어와 자연을 담은 공간을 만끽하 of it stretches towards nature, and all the indoor space stretches with nature.게 된다.‘spread housing’이라는 프로젝트명과 같이, 건축물 형태는 자연을 향하 The concept image of 'a big rock to relax in' was formed with design factors through the여 펼쳐져 있고, 실내의 모든 공간은 자연으로 펼쳐져 있다. entire project.쉴 만한 큰 바위의 컨셉 이미지는,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디자인 요소로 형상화했다. One of the signature of it is a cloud on the island sink in the kitchen. A roof shape simplified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방 아일랜드 싱크 위의 클라우드인데, 건축심의 과정에서 단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screening is composed inside, and a free linear shape was순화된 지붕형태를 내부에 구성하면서 자유로운 선형을 3차원적으로 표현하였다. 또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way. Further, in facade composition, an atypical linear한, 입면 구성에서는 지붕재료를 감싸 내린 비정형적인 선형을 사용하는 등 건축물 shape wrapping up roof materials was used to offer a sense of consistency on the edge of내외부의 형태와 선형에서,‘쉴만한 큰 바위’의 모서리면의 느낌이 일관성있게 흐르 'a big rock to relax in'. A more flat, acclimatized, and larger rock will be located in this고 있다. 한라산과 산방산을 동시에 품을 수 있는 이 특별한 대지 위에 가족과 이웃 special land embracing Mt. Hall and Mt. Sanbang by accumulated frequent contacts of a의 발길이 차곡차곡 쌓여져서 좀 더 평평해지고 익숙해진 큼직한 바위로 자리하길 기 family and neighbors. Written by Kim Hohyun대한다.112
113
114
115
116
117
Oedoil-dong House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266-24, Oedoil-dong, 7 10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661m2 Bldg. Area 9131.43m2 Gross Floor Area 180.65m2 Bldg. Scale 2F Structure R.C., 6Container Exterior Finish Exposed Concrete, Stucoflex, Color Steel 6Plate, Basalt Project Team Ma Jaehui, Choi Yunok, Jang Dongchan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58Kwon Taehun, Park Yohan, Kim Gyeongsu, Jang Gwangsu ClientKim Anna Photo CONCEPT_James Jeong 1st Floor Plan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외도일동 2266-24 용도 단독주택대지면적 661m2 건축면적 131.43m2 연면적 180.65m2 규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컨테이너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마재희, 최윤옥, 장동찬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박요한, 김경수, 장광수 발주처김안나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18
East Elevation South Elevation North Elevation 3 1. Living Room 28 2. Kitchen 1 3. Utility Room8 4. Hobby Roon 5. Master Bedroom 4 6. Room 7. Storage 2nd Floor Plan 8. Deck 9. Garden 10. Parking Lot 119
민욱이네 The idea of this project was launched by visiting the blog of the owner of the house. In his blog, we could identify here and there warm heart of the blog owner who is taking care of a일반적으로 건축하게 된 경위와 과정, 공간 등 세부적인 요구사항에 대한 리포트, 그 patient. We could identify his love for his family posts on his wife°Øs hobby activities and리고, 대지 방문을 통한 기초조사 등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지만, 이번의 경우 features of his son, Minwook. When we discussed this project in our office, we naturally는 건축주의 블로그를 탐방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구상을 시작했다. 환자를 돌보시는 and friendly became to call the family as 'Minwook Family.'아버지의 블로그 속에는, 가족을 사랑하는 따뜻한 마음이 구석구석 표현되어 있었다.아내의 작은 취미활동 이야기도, 아들 민욱이의 해맑은 뒷모습도 모두 살펴볼 수 있 At the ideal spot to enjoy the scenery of sprawling barley fields and sea, we put the었다. 사무실 내에서 이 프로젝트를 얘기할 때 자연스레‘민욱이네’로 불리게 된 것 drawing room, and made it possible to expand it by adding external deck. Naturally,이 우리가 이 가정에서 배운 따뜻한 아빠의 마음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individual rooms are put on the first floor. Room has a separate deck. What is peculiar in its formation is three containers. Each of them is uniquely produced in its space, height, color,가족의 이야기를 포함하여 조망, 주변 건축물에 대한 장래계획, 예산 등이 건축물을 and windows and doors. They are used for outer warehouse, subsidiary kitchen, and hobby구성해 나갔다. 후면의 넓은 보리밭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위치인 2층 room. These three containers which were adopted by the suggestion after related budgets에 거실을 두고 외부데크를 설치하여 확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연스레 개실 구성 were examined have taken a big part in the whole structure.은 1층에 두어져 안방의 경우 독립된 데크공간을 가진다. 구성상의 특이한 점은 3개의 컨테이너이다. 면적과 높이, 색상, 창호 타입 등이 각각 특색 있게 연출 되었는데 Formation of external faces using Exposed concrete at the front door, canopy and basalt그 내용은 외부창고, 보조 주방, 취미실 역할을 감당한다. 예산 검토를 통한 제안에 outer wall and others, ceiling for bright inner space, and inner-outer formation in the space서 시작하여 전체 조형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between the house and containers, etc. add the pleasure the house gives us.현관부의 제주 삼나무 무늬 노출콘크리트와, 곡선 형태와 직선 형태의 캐노피, 현무 Written by Kim Hohyun암 덧벽 등을 활용한 외부 입면 구성과 밝은 내부공간 구성을 위한 천창, 컨테이너와의 사이 공간을 연출한 내외부 구성 등이 건축의 재미를 더한다.120
121
4 56 3 79 Section122
123
Gimnyeong-ri 1588-1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588-1, Gimnyeong-ri, Gujwa-eup, Site Plan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Atelier Site Area 463m2 Bldg. Area69.42m2 Gross Floor Area 69.42m2 Bldg. Scale 1F Structure Wooden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Steel Plate Project Team Baek Seunggeu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Seunggeun, Park Jeongseop Client Kyung Baekgyeol Photo CONCEPT_JamesJeong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1588-1 용도 단독주택, 아뜰리에 대지면적 463m2 건축면적 69.42m2 연면적 69.42m2 규모 지상 1층 구조목구조, 경량철골보강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프로젝트팀 백승근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발주처 경백결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24
3 42 2 1. Living Room 1 6 2. Kitchen 5 3. Master Bedroom Floor Plan 4. Room 5. Atelier 6. Storage Before 125
相友家 (상우가) The three buildings as main house and corner house were divided into inner house, guest house, and work house, all of which are connected by decks. In the outer structure, the roof안거리와 모거리 형태의 3개의 건축물은 안채와 게스트동, 작업실 공간으로 구분되 of color steel sheet covering the existing slate roof and windows and doors were revised,었고, 각각을 연결한 데크 구성으로 하나 된 모습을 가진다. 외부구성은, 기존 슬레 and finished with stucoflex including insulation work. In the inner structure, we secured the이트 지붕 위에 얹혀진 컬러강판 지붕과 창호 구성을 수정하며 단열공사를 포함한 스 height of ceiling as much as possible by partly exposing rafter formation.타코 마감으로 정리했다. 내부구성은 기존의 서까래 구성을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천장고를 최대한 확보하였다.제주도의 농가주택은 1970년대를 기점으로 그 구조방식이 바뀌게 되는데, 본 건축 Farm house in Jeju Island changed in its compositional format in the 1970s, and this물은 그사이 시점에 걸쳐 단계적으로 건축되었다. 기존의 안거리 형태의 3칸 농가와 structure has been constructed over the changing period step by step. The expansion and모거리 형식으로 2개의 건축물이 추가로 건축되었다. 이번의 증∙개축 공사 또한 이 renovation of it this time is also part of the series of the constructing process.런 일련의 과정에 있다. When we look at a specific traditional building, or a tradition of architecture, it is전통건축, 건축의 전통은‘그때’의 시간을 쳐다볼 수 있을 때 의미가 있는데, 작은 meaningful because we can watch the time when it was built. But, I think that, when we단위의 근대건축물에서의 전통은‘그간’의 시간을 함께 볼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 deal with a tra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with a small scale, we should find meaning in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건축가는‘예견’하여 공간구성을 한다면, 시간이 낳은 건축물 the fact that we can appreciate the long period of time during which it has been은 닳고 문질러져 자연스레 흘러들어온 것이다. 건축가가 감당할 수 없는 영역이다. constructed. If we say that architect designs space by ‘prediction’, architecture made over time has remained naturally with it being worn out and rubbed away over time. It is not the실측하고 구조를 남긴 상태까지 철거해 내어, 다시 실측하고 그것을 현장에서 도면을 scope architect can meddle with.그려 일련의 공종을 따라 설계작업이 함께 진행되었다. 최대한 기존의 구조와 구성을살리는 것이 목표였으며, 한정된 예산안에서 최선을 다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 We measured it, demolished it excluding only the basic structure, measured it again, and,했다. drawing it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designed it along with different types of work in a series of construction process. Our aim was to revive the original structure and composition as much as possible. Written by Kim Hohyun126
127
Gosan-ri 2291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291, Gosan-ri, 32 4Hangyeong-myeon,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1 4Site Area 741.0m2 Bldg. Area 134.08m2 Gross Floor Area134.08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6 8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Jang Dongchan Construction 5 7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44Client Kim Eunji Photo CONCEPT_James Jeong 1st Floor Plan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2291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741.0m2 건축면적 134.08m2 연면적134.08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발주처 김은지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28
1. Living Room After2. Kitchen Before3. Utility Room4. Room5. Library6. Deck7. Garden8. Kitchen Garden 129
고산리주택 2291 This project began as I met with the daughters who wanted to live with their mother in Jeju Island. Under the condition of creating rooms for the three daughters and their mother in a이 프로젝트는, 어머니를 모시고, 제주에 주택을 마련하는 딸들의 만남으로 시작하였 rural house consisting of a main house and a corner house, I started to renovate the house.다. 안거리와 초가 형태의 모거리, 두 동으로 구성된 농가주택에 세 명의 딸과 어머 As a result,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and a small library and a utility room were님의 방을 구성하는 조건을 시작으로 내부 공간을 계획했다. 두 동의 건축물을 서로 adequately placed.연결하고, 작은 서재와 다용도실을 적절하게 배치하였다. 건축물의 연결과 공간의 소요 폭을 넓히는 방식으로 일부를 증축하고, 지붕을 올려 천장고를 높였다.외관에서의 특징은 한 개의 건축물로 연결되었지만, 기존의 두 동 구성의 모습이 유 One of its exterior features is that though the two buildings are connected into one house,지된 지붕 형태이다. 중간에 연결된 부분의 지붕은 후면으로 경사지어져 있어 전면에 their roofs maintain separate forms. The roof of the connected part is sloped backwards so선 그 형태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경제적으로 불필요한 지붕 공간의 연장을 만들지 it is not distinctive from the front. I believe this was to maintain the original proportions of않고, 기존 농가가 가지고 있던 비례를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the rural house without extending the roof area which is not economical.거실과 주방, 복도의 연결, 부속실의 배치 등 제한된 규모 내에서 4개의 방과 2개의 As it was a delicate process to design four rooms and two restrooms as well as a living화장실을 설계하여야 하는 세밀함으로 인해, 몇 차례에 걸친 현장실측과 마감치수에 room and a kitchen, the hallway and ancillary rooms in a limited space, several times of대한 조정 등이 필요했다. actual measurement and changes in the finished sizes were inevitable. Written by Kim Hohyun130
131
Sinchon-ri 2318-1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2318-1, Sinchon-ri, 9 7 3Jocheon-eup, Jeju-si, Jeju-do, 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5 6 2336.0m2 Bldg. Area 109.76m2 Gross Floor Area 109.76m2 Bldg. Scale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ALC Block Construction, 4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Plate, Basalt Project Team Choi Yunok, Jang Dongchan Construction 1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KimGyeoungsu Client Heo Sejeong Photo CONCEPT_James Jeong 8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2318-1 용도 단독 1st Floor Plan주택 대지면적 336.0m2 건축면적 109.76m2 연면적 109.76m2 규모지상 1층 구조 조적조, ALC 블럭, 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최윤옥,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김경수 발주처 허세정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32
Before1 1. Living Room 2. Kitchen 3. Utility Room 4. Master Bedroom 5. Room 6. Deck 7. Garden 8. Kitchen Garden 9. Parking LotRoof Plan Before2 133
신촌리주택 2318-1 This project was to build a house for the daughter and her soon-to-be husband in a house where the family had been living for four generations. In a small land, the house was4대에 걸쳐 살아오던 집을 딸의 신혼집으로 꾸미는 프로젝트이다. 작은 대지 안에 comprised of three buildings including a main house, an outhouse and a corner house, and안거리와 밖거리, 그리고 모거리로 세 채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외부 공간에는 물부 kitchen and restroom had been extended in the outside space.엌, 화장실 등이 시간차를 두고 증축되어있었다. 건축주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창호구성과 내부 공간에 대한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었고, 기존 농가의 대문, 창호, As for the outside space, the existing kitchen gardens were maintained to utilize deck덧벽, 서까래, 기둥 목재 등을 자유롭게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space and basalt of walking line, and the small back garden keeps the original natural arrangement of the rural house.외부공간에는 기존의 텃밭들을 유지하여 데크 공간과 보행 동선의 현무암 난석을 활용하였으며, 건축물 후면의 작은 텃밭은 기존 농가의 자연스러운 배치형태를 고스란 For the outhouse space, which used to work as the gate of the rural house, the gate area히 간직한 형태이다. was cut away to be used as the parking lot and the remaining area was turned into an independent space for guests. The corner house was connected to the main house to기존 농가의 출입문을 겸한 밖거리 공간은 출입문 부분을 잘라내어 주차장으로 활용 create an entrance into the library and the deck, and the basalt added wall in the in-하고, 나머지 공간은 손님을 위한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었다. 모거리는 안거리와 연 between area is exposed in a well-organized manner. An enlargement was made to the결해 서재와 데크로 향하는 출입공간을 구성하였다. 사이공간에서 발생한 현무암 덧 back of the main house to form a bed room and a utility room, creating an extension to벽의 외벽은 정돈된 모습으로 유지해 내부에 노출했다. 안거리 후면으로 증축이 진행 independent outside spaces. Written by Kim Hohyun되었는데, 안방과 다용도실을 구성하여 독립된 외부공간으로의 확장을 유도하였다.134
135
Pyeongdae-ri 1627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627, Pyeongdae-ri, Gujwa-eup, 9 4Jeju-si, Jeju-do, Korea Use Pension Site Area 595.0m2 Bldg. Area 151.03m2 6Gross Floor Area 151.03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8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3 8Basalt Project Team Choi Yunok, Jang 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8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Jang Gwangsu, Kim 2Gyeongsu Client Lee Euna Photo CONCEPT_James Jeong 41 4 57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 1627 용도 펜션 대지면적595.0m2 건축면적 151.03m2 연면적 151.03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10경량철골조 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최윤옥,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권태훈, 장광수, 김경수 발주처 이은아 사 1st Floor Plan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36
1. Living Room 2. Kitchen 3. Dining Room 4. Room 5. Powder Room 6. Spa Room 7. Storage 8. Deck 9. Garden 10. Kitchen GardenRoof Plan Before1 Before2 137
느량 The direction of extension and remodeling was providing an independent and a comfortable place to stay when accompanied by two or three families. The main house and증∙개축의 방향은 3세대 혹은 친한 두 가정이 동행했을 때에 독립적으로 머물기 편 outhouse allows independent accommodation and the outhouse includes a spa for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안거리와 밖거리는 독립된 구성으로 각각의 침실을 가 relaxation. In the corner house, restaurant, kitchen and wooden floor for children was지고 있어 독립적인 숙박이 가능하며, 밖거리에는 스파 공간이 있어 특별한 휴식을 installed.경험할 수 있다. 모거리엔 식당과 주방, 그리고, 어린 자녀들을 위한 마루를 설치했는데, 프로젝트를 함께한 세심한 건축주의 의견이 반영된 내용이다.본 건축물은 인근의 주택들과는 떨어져 있어 제주의 풍경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This building is away from the nearby homes so guest can enjoy the scenery of Jeju.올레길을 통한 출입동선과 외부의 독립된 세 채의 건물 구성, 월정리 해변으로 열린 Access ways through Olle route, three independent buildings and the open scenery시야 등이 휴식을 찾으러 온 이들에게 충분한 환경을 제공한다. towards the Woljeong beach provides plenty of relaxation.내부 공간은 별도의 증축 없이 지붕을 들어 올려 천장고를 확보하는 작업만 이루어졌 The interior space was only made on securing the ceiling height by lifting the roof. It was다. 기존의 평면 규모 안에서 필요 요소들이 단정하게 위치하며, 구조 벽체를 이동해 made so that necessary elements can be neatly placed within the existing size of the plan서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and a large space was secured by moving the structural wall. Written by Kim Hohyun138
139
Susan-ri 861-1 Jeju-do,KoreaThe erets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861-1, Susan-ri, Aewol-eup, Jeju-si, Jeju-do, 4 3Korea Use Single House Site Area 498.77m2 Bldg. Area 143.13m2 Gross Floor Area 2143.13m2 Bldg. Scale 1F Structure Masonry Construction,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96 18Exterior Finish Stucoflex, Color Steel Plate, Basalt Project Team Jang Boyun, Jang 11Dongchan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 Jeongseop, Kwon Taehun, 9 7Kim Gyeongsu, Jang Gwangsu Client Kim Eunju Photo CONCEPT_James Jeong 89 10 5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861-1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12498.77m2 건축면적 143.13m2 연면적 143.13m2 규모 지상 1층 구조 조적조, 경량철골조외부마감 스타코플렉스, 칼라골강판, 현무암덧벽 프로젝트팀 장보윤, 장동찬 시공 더 이레츠_백 1st Floor Plan승근, 박정섭, 권태훈, 김경수, 장광수 발주처 김은주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140
1. Living Room After 2. Kitchen 3. Utility Room 4. Master Bedroom 5. Room 6. Library 7. Family Room 8. Storage 9. Deck 10. Garden 11. Kitchen Garden 12. Parking LotRoof Plan Before 141
수산리주택 861-1 The owner started talking about the cat family. Their stories were reflected in many parts of the planning process and the consideration on space and flow was installed in places.건축주는 고양이 가족 이야기를 꺼냈다. 그들의 이야기가 계획의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포함하게 되었고, 공간과 동선 등에 대한 배려가 곳곳에 설치되었다.기존의 건축물은 4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당을 좁게 하고 도로 쪽으로 텃밭을 The previous building was composed of 4 buildings. There was lack of light to be used as a사용하고 있는 구성이었는데, 주택으로 활용하기에는 채광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에 house. Therefore, an outhouse which was covering the light from the south was남향 빛을 가리고 있는 밖거리는 철거하고, 창고로 활용하고 있던 모거리도 위치를 demolished and the corner house which was used as warehouse was relocated.옮겼다. The main house and the outhouse were connected to facilitate the flow within the house남아 있는 안거리와 밖거리는 연결하여 내부에서의 동선을 원활하게 하고, 평면상의 and the ceiling was installed to produce bright and cool interior space. What was unusual깊은 공간에는 천창을 설치해 밝고 시원한 내부공간을 연출하였다. 특이한 점은 안방 was that the garden seen from the master bedroom was applied with window seat which에서 보이는 정원으로‘스프레드 하우징’에 설치하였던 window seat를 적용한 것이 was installed in ‘Spread Housing.' Through two deck spaces, garden and doorways, we다. 이 부분을 구성하기 위해 현장 실무자들간에 복잡한 구조해석이 이루어졌다. 두 have tried not to miss expressing the winding walls of Jeju farm house.개의 데크공간과 정원, 출입구 등을 통해 제주 농가의 휘감아 돌아가는 담장의 표현을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Written by Kim Hohyun142
143
Veterinary Clinic Pyeongtaek-si,KoreaThe erets Section144
Architects The erets_Kim Hohyun Location 179, Ichung-dong, Pyeongtaek-si, Gyeonggi-do, Korea Use Veterinary ClinicSite Area 484m2 Bldg. Area 96.77m2 Gross Floor Area 159.84m2 Bldg. Scale 2F Structure R.C. Exterior Finish ExposedConcrete, Hard Wood Siding Project Team Yoon Bohyun, Ma Jihye Construction The eret Vi.a._Baek Seunggeun, ParkJeongseop, Kang Sinseong Client Yoon Ilhyeon Photo CONCEPT_James Jeong설계 더 이레츠_김호현 위치 경기도 평택시 이충동 179번지 용도 동물병원 대지면적 484m2 건축면적 96.77m2 연면적159.84m2 규모 지상 2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송판무늬노출콘크리트, 하드우드사이딩 프로젝트팀 윤보현, 마지혜 시공더 이레츠_백승근, 박정섭, 강신성 발주처 윤일현 사진 월간컨셉_제임스 정맑은숲동물병원평택에 있는 대지는 큰 도로와 접하고 있지만, 언덕 형태의 구릉이 밀려 내려와 있는 형태이다. 건축계획은 땅의레벨을 정비하고 출입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내부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스터디가 필요했는데, 대기-문진-진료-수술의 동선과 미용, 호텔, 격리공간, 그리고 사무공간 등에 대한 긴밀한 협의와 사례조사를 통해서 독립된건축물 구성이 가져올 수 있는 최대의 효과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대지의 절반을 열고 넓은 출입공간과 외부 데크 공간을 두어 건축물의 인지를 부각하고, 일부가 열린 2층 구성으로동선을 분리했다. 대기공간에는 내외부의 확장성과 높은 천장, sky light를 통한 쾌적함을 방문객에게 제공한다.외부 입면구성은 3가지 재료로 통일감 있게 표현했다. 노출콘크리트와 하드우드 계열의 여러 수종을 섞어 연출한표피 구성,‘ㄱ’자로 구성되어 출입구까지 연결된 창호 구성이 그 특징이다. 목재면은 입면을 따라 지붕을 덮고 있어 3가지 재료의 입면 구성에 불편함이 없는 논리를 제공한다. 내부 구성에서는 경사진 지붕을 그대로 활용한 천장 구성과 2개의 천창을 통한 환기역할이 가장 큰 특징이다. 더불어 폭이 좁고 높은 천장구성을 가진 대기공간의부담감을 줄여주고자 설치한 조명기구 프레임을 안정되게 설치했으며, 제작된 원색의 소파가 그 아래 공간의 주인공으로 자리 잡았다.Though the site in Pyeongtaek abuts on the big street, it is at the edge of a downward hill. The construction plan startedwith adjusting land levels and deciding on how to enter and exit the building. A long study was needed to decide oninternal arrangement of spaces. We made efforts to make each space in a separate building can play the most efficientfunction through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on how to arrange lines of flow from waiting-seeing doctor-medicaltreatment-surgery, and spaces for beauty salon, hotel, seclusion, and office.We allotted half of the site to spaces for entry and exit and for decks to highlight the building, and line of flow is separatedby composing the 2nd floor as partly open formation. The waiting space was designed to provide visitors with sense ofcomfortableness with expansion inside and outside, high ceiling, and sky light.The outer wall composition was expressed with sense of unification with three elements. Its characteristics consists ofouter skin formation expressed by mixing exposed concrete and various kinds of hardwood plants and the formation ofdoors and windows in 'ㄱ' form extending to the front door. Wood face covers the roof along the walls, providing the logicwithout inconvenience in wall formation. In the inner composition, the ceiling using the sloped roof and the fact that thereare two ceilings are the biggest characteristics. To lessen the burden of narrow space with high ceiling, lighting apparatuswas installed, and primary color sofa is seated on the bottom floor space as the main actor of space. Written by Kim HohyunElevation 145
Site Plan146
147
12 13 1. Doctor's Office 11 2. Surgery 3. Information Desk 10 9 4. Waiting Hall 5. Shop 6. Beauty Parlor 7. Resting Deck 8. Front Yard 9. Resting Hall 10. Hospital Room 11. Office 12. Resting Roon 13. Terrace 2nd Floor Plan 26 8 11 3 45 7 1st Floor Plan148
Search
Read the Text Version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