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ant Announcement
PubHTML5 Scheduled Server Maintenance on (GMT) Sunday, June 26th, 2:00 am - 8:00 am.
PubHTML5 site will be inoperative during the times indicated!

Home Explore The 3rd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and Thai Studies

The 3rd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and Thai Studies

Published by Chalermkiat Deesom, 2017-02-17 05:47:59

Description: The 3rd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and Thai Studies

Search

Read the Text Version

188 The example (2) shows the introduction that concludes the story into a sentence. It is a broadintroduction of the story. In the sentence is often used the verb “” to show what the story is. ii. Placement Placement is the second element in synopsis’s structure that can also be omitted.However, most of the synopses are not omitted this event. The major characters, the leader actorsand the role of them are in this element to be interested the viewers. This information is able topersuade the reader or the viewer decision if he will watch this series.The markers that indicate thedrama star who plays the series are the preposition and punctuation mark. Preposition is “”. Thepunctuation mark is round bracket. The example (3) and (4) are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s.(3)    Ohana role by Hajewon and Chawewon role   by be friend close together come twenty yearIchinjook     pass hot pass cold come together ‘Ohana plays as Hajewon and Chwewon plays as Ichinjook. They are close friends and be together for 20 years.’ (The Time We Were Not in Love, www.kodhit.com) The example (3) shows the major characters and the main actor and actress of the series.The preposition “”and verb phrase “” and the verb “” are used to express the roleand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haracters.(4) ()    Goherim (Han Ye Seul) she be astrologer that have famous ‘Gherim, played by Han Ye Seul, is a famous fortune teller.’ (Madame Antoine, www.likeseries.com) This example also shows the placement element. This element uses a round bracket toindicate the star played for that role and the verb “” are used to express her characteristics asthe fortune teller. iii. Initiation Initiation or initiating event is the third element of the synopsis’s structure thatfunctions as the interruption of the normal event of the story. Italso performs the starting point of thestory before its continuity keeps on. Although it is an important element, it can be omitted as otherelement. Adverb of time which is used to initiate the story are

189“ ”“”“ ”“”“”“ ”“  ” “  ”“  ” and “”. This element can be shown in (5) and (6).(5)     in day that rain fall he get meet with cat vagrant  CL one ‘In the raining day, he met a vagrant cat.’ (Imaginary Cat, www.likeseries.com) This example shows the clause “  ” used to interrupt the normalevent and to start the story.(6)    when both come meet together ‘When they meet each other, …’ (Warm and Cozy, www.kodhit.com) This example shows the initiating event by the adverb of time “ ” to express the clausewhich the event iv. Sequence This element is the continuity of the story. It can occur in many times. Conjunctionsand adverbs of time areused as the markers to indicate this event. Sequent event can be occurredmore than one event. As in the figure 1 arrow sign is used to indicate the repetition of the sequentelements. There are 9 markers: “ ” ‘and’, “ ” ‘but’, “” ‘afterwards’, “  ”‘while’, “   ” ‘meanwhile’,“” ‘at the same time’, “”‘by the time’, “ ” ‘afterwards’, and “” ‘at that time’ in this event. Theexamples are shown in (7) and (8).(7)      They must buildform new rise come      and enter infiltrate hide be with group criminal‘They must form new character and disguise into criminal circle.’(Hidden Identity, www.kodhit.com)

190 The example (7) shows the sequent event by using the conjunction “ ” to continue thestory.(8)      but return get ability special in seeing   smell come instead ‘But she is able to see the smells.’(The Girl Who Can See Smells, www.kodhit.com) The example (8) shows the sequent event by using the conjunction “ ” to continuethe story. v. Reason Reasoning event is theelement that tellsthejustification of the previous event. Thiselement always occurs after the sequent event. This event is headed with the conjunctions“  ”, “” or “” as in the following examples.(9)       but he begin that ASP lose memory PREP     him because memory deteriorate ‘But his memory slowly disappears because of his memory disorder.’ (Remember - War of the Son, www.likeseries.com) This example shows the reasoning event with the conjunction “” which means‘because’ to express the reason of the previous clause.(10)   but have problem side financial        because healthPoss sister that must use     money amount many in healing ‘because of his sister’s health that have to use a lot of money to treat her illness.’(Yong Pal, www.kodhit.com)

191The example (10) illustrates the reasoning event with the reasoning conjunction“ ” which means ‘because’.vi. ExampleExample is occurred after sequence to modify the sequent event. From the data, thisevent is occurred in only one synopsis as in the following example.(11)   in year 1988 that have story    good many for example circle news education   and sport include circle K-pop ‘In 1988, there are many good events for example news, education and sport circles, including K-pop’ (Reply 1988, www.kodhit.com) This example shows the example of the sequent event which is previous the marker“ ”. It is the happened event in 1988. vii. Summary This event always uses the questions the reader to follow the series. It comes to thepondering end of the story. This event often concludes in an interrogative sentence. All the questionsare about the next part or final of the story. This element is the closing section which functions toinitiate the closing section called the pre-closing.(12)       person two person that status different each pattern       will love together get or not ‘Can two persons that are different love each other?’(Warm and Clzy, www.kodhit.com) The example (12) illustrates the summary event of the story by the Yes-No question.(13)    story love so get happen rise ‘So the love story is happened.’(I Remember You, www..series8-fc.com) The example (12) shows the event that concludes the story. The conjunction “”used in the descriptive sentence.

192 viii. Persuasion This persuasive event is the most important one in the synopsis because the purposeof the synopses is to persuade the reader to watch that drama. Its function is to close the synopsis.Some verbs used in this event are “ ” ‘to follow’, “ ” ‘to encourage’, and“  ” ‘to encourage together’. The imperative sentence is always used in this event.(14)      followseries cute cuteget here ‘Watch the lovely series here.’(imaginary cat, www.likeseries.com) The example (14) illustrates the persuasive event by heading with the verb “” inthe form of imperative sentence.(15)        come together encouragetogether get at seriesplace this ‘Come and watch atseries8’(Remember – War of the Son, www.series8-fc.com) The example (15) shows the persuasion the verb “ ” in the form ofimperative sentence.4. Conclusion and Discussion To summarize, the results point that there is no any obligatory element in Koreanseries synopses.However, the summary and persuasion can be occurred together or either summaryor persuasion can be occurred alone.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the summary and persuasion isthe closing section of the synopsis which is obligatory. As mention earlier, Hallidayproposed the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structure and the language functions in social life. The structure of thetext must consist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Besides each element can switch round the boundary,all of these element

193 ReferencesBrown, G and G. Yule. (1983). Discourse Analysi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Halliday, M. A. K. and R. Hasan.(1985). Language, context, and text: aspects of language in social- semiotic perspective. Hong Kong: Oxford University.Pattama Patpong. (2013). Textual Data Management of Thai Song Ethnic Group. NakornPathom: Mahdol University.Umaporn Sungkaman.(2006). An Analysis of Mon Conversation.Dissertation, Faculty of Graduate Studies, Mahidol University.Umaporn Sungkaman.(2014). “Naming Strategies of Korean Series”. In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1st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Thai Studies – Korean Studies. Bangkok Thailand, 29 August 2014, 173-183.www.sil.org (access on May 14th, 2016)

194A Study on the teaching paraphrasing strategy education for Thai learners of Korean Language 태국인을 위한 바꿔말하기 전략 교육 연구 카녹껀 딴야락1 Kanokkorn Tanyarak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paraphrasing strategy education for Thai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mean of improving speaking proficiency, by analyzing andclassified patterns of using the paraphrasing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knowledge aboutthe target language for communication, And then determinated the aim of teaching andlearning paraphrasing strategies. Based on results of analyze of the aspect of using paraphrasingstrategies by intermediate Thai learners which was considered to analysis and determinate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paraphrasing strategies. And finally, designed a model forteaching and learning paraphrasing strategies and worked out a way to teach the paraphrasingstrategy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patterns of using it by Thai learners.Keywords: Korean speaking ability, Thai learner, paraphrasing strategies, Korean language education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본 연구는 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 자료를 바탕으로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바꿔말하기 전략 양상을 분석 및 분류하고, 이에 대해 교육적으로 접근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목표는 첫째, 제 2 언어 교수·학습에서 바꿔말하기전략의 개념과 특성을 연구한다. 둘째, 태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을분석하고, 그 사용상의 문제점을 발견한다. 셋째, 학습자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의 문제점을 바탕으로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바꿔말하기 전략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언어의 네 기능 중에서 말하기 기능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한국어 말하기 교육은 한국어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말하기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발음, 어휘, 문법등의 항목을 포함한 한국어 지식도 중요하지만 학습한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 이에1 Lecturer Faculty of Humanities, Srinakharinwirot University

195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전략, 특히 제 2 언어 근거 전략2인바꿔말하기 전략을 훈련할 필요가 있다. 바꿔말하기 전략이란 학습자가 목표언어로 발화를 하는 중어려움을 겪을 때, 예를 들거나 설명함으로써 그 어려움을 일으킨 단어나 발화 부분을 대체하여 말하는것을 뜻한다(Tarone, 1977). 외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말하는 연습을 할 기회가 적어 한국어로의사소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처럼 교실에서 의사소통 상황을 경험하지 못하는 학습자들은 실제의사소통 상황에서도 자신이 말하고 싶은 것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한국어학습자들은 의사소통 장애에 부딪히면서 메시지 전달을 포기하거나 말하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기도한다. 그러므로 외국의 한국어 교실에서는 목표언어를 활용하는 전략을 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말하기 능력을 신장할 필요가 있다. 즉, 제 2 언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바꿔말하기 전략을 사용하여, 학습한 언어 지식을 활용하는 말하기를 경험해 보게 하는 것이중요하다. 바꿔말하기 전략을 통한 말하기 연습은 학습자가 한국어 지식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기회를 제공하고 말하기를 연습하게 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1.2 선행 연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제 2 언어 학습자들의 바꿔말하기 전략을 주(主) 주제로 논한 연구는아직 없다. 따라서 외국어 교수·학습과 한국어 교수·학습에서의 의사소통 전략 연구와 국어교수·학습에서의 바꿔말하기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1.3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태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학습자들의 발화를 녹음하고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2 학년 학습자는 총 22 명이다. 학습자들의학년에 따라 정한다. 즉, 1 학년은 초급 수준, 2·3 학년은 중급 수준 그리고 4 학년은 고급 수준으로정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급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급 학습자는 초급학습자보다 한국어의 기초적 어휘나 문법 지식을 더 많이 알고 있는 반면, 고급 학습자처럼 자유럽게말하지는 못하여 한국어로 의사소통할 때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태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대상인 학습자들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3. 하나는 학습자들의 바꿔말하기전략 사용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어휘 설명하기 과제와 문장 바꿔말하기 과제였다. 다른 하나는학습자들이 원어민 화자와 의사소통 할 때 어휘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과제로서, 목표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물체와 행위가 담긴 그림순서대로 말하기 과제와 그림이나 사진 묘사하기 과제이다. 2 제 2 언어 근거 전략이란 학습자가 목표언어로부터 정보를 생성하고 끌어내는 전략을 말한다. 즉, 학습자가 목표언어로의사소통을 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목표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3 진제희(2000:180)에 의하면 의사소통 전략 분류를 위하여 그 동안의 연구에서 주로 사용했던 방법은 “그림이나 사진묘사”와 “스토리 텔링”이었다.

196II. 외국어 교육에서의 바꿔말하기 전략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2.1 바꿔말하기 전략 정의와 특성바꿔말하기 전략은 외국어 교육과 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정의할 수 있다. 외국어 교육에서의바꿔말하기 전략은 의사소통 전략의 한 부분으로서, 제 2 언어 학습자가 중간언어 수준에서의사소통하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때 예시를 들어 설명하거나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국어 교육에서의 바꿔말하기 전략은 화자가 구두로 표현된 언어를 상위 인지를 통해 점검-조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표현 방법으로 다시 말하는 활동을 뜻한다(윤다운, 2006:10).2.2 바꿔말하기 전략의 유형의사소통 전략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이 제시한 의사소통 전략 유형 중 몇몇 학자들의 유형에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의사소통 전략 유형 분류에서 바꿔말하기 전략의 유형을 소개하겠다. 다음<표 1>은 Tarone(1977), Bialystok(1983), Faerch & Kasper(1983), Willems(1987)의 바꿔말하기 유형을정리한 것이다.Tarone(1977) 바꿔말하기 전략(paraphrase) - 근접한 표현(approximation) - 신조어(word coinage) - 우회적 표현(circumlocution)Bialystok(1983) 제 2 언어 근거 전략(L2-based strategies) - 의미적 인접(semantic contiguity) - 묘사(description) - 신조어(word coinage)Faerch & Kasper(1983) 성취 전략(achievement strategies) Willems(1987) - 중간 언어 전략(IL based strategies)  과잉 일반화(generalization)  바꿔말하기(paraphrase)  신조어(word coinage)  제구성하기(restructuring) 성취 전략(achievement strategies) - 바꿔말하기(paraphrase)  묘사(description)  우회적 표현(circumlocution)  예시 들기(exemplification) <표 1> 바꿔말하기의 유형 위에서 살펴본 유형들을 종합하여 볼 때 바꿔말하기 전략의 유형은 다음의 3 가지 유형, 즉우회적 표현(circumlocution), 근접한 표현(approximation), 그리고 신조어(word coinage)로 나눌 수있겠다. 우회적 표현이란 예시 들기, 묘사하기와 같이 목표 대상이나 행위의 기능과 특징을 설명하는것을 뜻한다. 우회적 표현은 Tarone(1997)과 Faerch & Kasper(1983)의 의사소통 전략 유형과 비슷하며,Bialystok(1983)에서는 “description - 묘사”로 정의되었다. 근접한 표현(approximation)은 목표어 단어나구조의 의미 특성을 공유하고자 이를 일반화하거나 관련 용어로 대체 어휘를 사용하는 전략을 말한다.Tarone(1977)과 Willems(1987)의 의사소통 전략 유형에서는 ‘근접한 표현’이라 일컫고 있는 반면,Bialystok(1983)과 Paribakht(1985)에서는 ‘의미적 인접(semantic contiguity)’, Faerch &

197Kasper(1983)에서는 ‘일반화(generalization)라 일컫고 있다. 신조어(word coinage)는 발화 도중 의사소통장애에 부딪히게 될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어 문법 규칙을 활용하여 실제로는 목표어에 존재하지않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전략이다. Tarone(1977), Faerch & Kasper(1983), Bialystok(1983),Willems(1987)에서는 ‘신조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Poulisse(1987)에서는 ‘형태론적창의성(morphological creativity)’이라 부르고 있다. 단어와 문장 차원에서의 바꿔말하기 유형은운게호이어(1969)와 분덜리히(1980)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운게호이어(1969)는 바꿔말하기를다음의 3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최소변형을 통한 바꿔말하기(한 어휘를 축소 또는 확장하기,어휘 요소를 유지하면서 구문 바꾸기, 동의어 및 관용구, 구체적 표현/비유적 표현 등으로 교체하기)둘째, 전체를 바꿔말하기 셋째, 최대변형을 통한 바꿔말하기다. 분더리히(1980)는 바꿔말하기를 어휘적, 문체적, 화용적, 숙어적, 통사적 그리고 통사-의미적인것으로 분류하였다. ‘어휘적 바꿔말하기’는 동의어(synonym)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문체적 바꿔말하기’는동의어들이 다양한 언어 변종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화용적 바꿔말하기’는 동일한 효과를 겨냥하는직접적인 표현 대신에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뜻하며, ‘숙어적 바꿔말하기’는 어휘적바꿔말하기와 유사하지만 한 단어는 이 숙어 또는 관용구로 바꿔말하는 것이다. ‘통사적 바꿔말하기’는능동과 수동의 교체와 같은 관계에서 성립되는 것을 가리킨다(이성만, 1998:61-61). 실제 한국어 담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바꿔말하기의 양상을 참고하여 위의 이론들에서 제시된바꿔말하기 유형을 통합 및 분류하면 어휘 바꿔말하기, 통사 바꿔말하기, 문장 바꿔말하기로 나눌 수있겠다. 본고에서는 바꿔말하기 전략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외국어 교육과 국어 교육의 바꿔말하기전략 유형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꿔말하기 전략 유형을 어휘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과 문장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으로 분류한다. 어휘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 유형은 우회적 표현, 근접한 표현,신조어를 포함하고, 문장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 유형은 문법과 문장 구조 바꿔말하기 전략을 포함한다.III. 한국어 학습자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 분석3.1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의 분석틀바꿔말하기 전략 사용 분석틀은 앞장에서 언급했던 바꿔말하기 전략 유형을 바탕으로설계하였다. 이는 다음 <표 2>와 같다. 우회적 표현 사용단어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 근접한 표현 사용문장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 어휘 창의성 문법 항목 대체 어순 변형<표 2>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의 분석틀 단어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은 우회적 표현 사용, 근접한 표현 사용, 어휘 창의성을 포함하며,문장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은 문법 항목 대체와 어순 변형을 포함한다.

198 3.2 한국어 학습자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 3.2.1 단어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 (1) 우회적 표현 사용 태국인 중급 학습자들의 우회적 표현 사용의 실제는 다음에서 제시하는 자료와 같다. [자료 1] S 15 - 과제 1 S 15: 바닷가, 바닷가에 표를 샀어요. 그리고 그 사람들은 여기에 가서 공을 친 장을, 장을 만들었어요. [자료 2] S 12 - 과제 2 S 12: 이 그림에서 국립 park[공원], 국립 쉬는 곳, 사람들이 아주 좋아하는 그리고 만나는 곳, 곳에서 아주 편하는 곳이에요. [자료 3] S 15 - 과제 2 T: 경찰이 누구하고 이야기해요? S 15: ขอทาน[거지], 몰라요. T: 아마도 S 15: 아마도 집이 없는 사람, 집이, 가족이 없는 사람. [자료 1], [자료 2], [자료 3]에서 학습자들은 모르는 단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묘사를 통해우회적으로 표현하였다. [자료 1]에서 학습자(S 15)는 “배구장”이라는 단어를 몰라 “공을 친 장”이라는말로 우회적으로 설명하였다. [자료 2]에서 학습자(S 12)는 그림 묘사하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그림 속의 “공원”을 보며 이를 “국립 공원”이라고 표현하고자 하였지만 “공원”이라는 단어가 떠오르지않다. 이를 먼저 모국어로 표현한 다음 “쉬는 곳, 사람들이 아주 좋아하는 그리고 만나는 곳, 아주 편한곳”이라고 묘사하였다. [자료 3]에서도 [자료 2]와 마찬가지로 학습자(S 15)는 한국어로 “거지”라는단어를 몰라 이를 먼저 모국어로 표현한 다음 “집이 없는 사람, 집이, 가족이 없는 사람”이라고묘사하였다. [자료 8] S 03 - 과제 3 S 03: 여러 가지 나라는 이 노래 있어요. 이 노래는 불, 불, 불렸어요. T: 나라마다 있어요? S 03: 네, 나라마다 있어요. 그리고 만약에 선수가 이길 때 이 노래를 불렸어요. T: 아, 국가. [자료 8]에서 한국어 학습자(S 03)가 “국가”라는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를 “나라마다 있는노래”로 묘사하였다. 또한 “선수가 이길 때 부르는 노래”로 예시를 들고 “나라마다 있는 노래”의 뜻을정확하게 전달하였다. [자료 9] S 08 - 과제 3 S 08: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들한테 자기를 소개하기 위해서 작은 종이에, 작은 종이에 쓰는 그 사람의 이름, 주소, 한 일처럼 것을 것이 있는 작은, 작은 종이에 쓰는 것이에요. 보통 이것은 큰 회사에, 큰 회사들의, 큰 회사들의 사원들이 언제든지 가져왔어요. 그리고 필요했으면 다른 사람들한테 주어요. [자료 9]의 학습자(S 08)는 위에서 살펴본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어를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학습자는 “명함”이라는 단어를 “자기를 소개하기 위한 작은 종이”, “사람의 이름, 주소, 직업이 씌어 있는작은 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음 사례는 학습자가 어휘를 설명할 때 우회적 표현 전략 중에서 ‘예시 들기’를 사용하는 사례이다.

199 [자료 12] S 21 - 과제 4 S 21: 어떤 시내에서 어떤 서점이 있어요. 근데 서점은 서점이라는 것은 책을 살 수 있고 있는 것이에요. 그것에서 가서 어떤 사람이 누구나 상관없다. 누구나, 이거 좀 어떤 책이 좋아하면 그 책을 이렇게 좀 받고, 이 책에서, 이 책 안에서 좀 뭐고, 이 책이 좀 뭐 대해서 쓰고 있는지 좀 보고 그리고 필요한 것이 있으면 공책, 이 책 중에서 어떤 책이 좀 필요하면 그걸 공짜로 집에 가지게 갈 수 있다고요. [자료 12]의 학습자(S 21)는 “시내에 있는 큰 서점에서는 누구나 마음대로 책을 볼 수 있고필요한 것이 있으면 공책에 쓸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을 바꿔말하여 “서점이라는 것은 책을 살 수 있고있는 것이에요”라고 “서점”이라는 단어에 대해 설명할으로써 단어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인 우회적표현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회적 표현 전략은 주로 묘사하기 전략과 상황 예시하기 전략을통해서 이루어진다. 묘사하기 전략은 화자의 경험적 지식에 바탕을 두고 사물의 특징, 기능을묘사함으로써 목표어 어휘의 의미를 상대방에게 전달해주는 전략이다. 묘사하기 전략을 사용할 때에는해당 사물이 다른 개념들과 구별될 수 있는 특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또한, 묘사하기 전략을성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가 같은 경험적 지식을 공유하고 있음기 전제되어야 한다. 상황 예시하기 전략은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한다거나 묘사한 단어와 관계있는 다른 단어를 모를때 목표어 어휘의 의미를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이다. (2) 근접한 표현 사용 아래에서는 학습자들이 표현하기 어려운 단어를 상위어나 하위어를 사용하여설명하고자 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자료 32] S 06 - 과제 4 S 06: 병원에서 휴대 전화를 안 돼요. [자료 31]과 [자료 32]는 학습자들이 “병원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장을어떻게 바꾸어 말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자료 31]에서 학습자(S 03)은 “-(으)ㄹ 수 없다”는 문형을 “-(으)면 안 돼요”로 바꾸었으며 [자료 32]의 학습자(S 06)은 “사용할 수 없다”를 “안 돼요”로 바꾸는 문형변형을 통하여 문장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을 사용하였다.그림을 보고 한국어로 개념을 표현하고자하였으나, 정확한 한국어 단어를 모르기 때문에 그와 비슷한 말을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자(S 02)는[자료 17]에서 “강” 대신 “물”을 사용하여 근접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자료 18]에서 학습자(S 22)는“기러기”를 표현하기 위해 “새”라는 상위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 19]의 학습자(S 03)는 그림 속의비둘기에게 먹이를 먹이를 주는 여자를 보며 “비둘기” 대신에 “새”를, “먹이” 대신 “음식”으로 일반화하여표현하였다. 다음은 태국인 중급 학습자들이 문장 바꿔말하기 활동에서 단어 수준의 바꿔말하기 전략을사용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는 사례들이다. 본 사례들은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 중 유의어를 사용하고있음을 보여준다. [자료 20] S 09 - 과제 4 S 09: 그 사람은 유명한 영화 스타예요. [자료 20]의 학습자(S 09)는 문장 바꿔말하기 과제를 수행하며 “저 사람은 사람들이 많이 아는배우예요”라는 문장을 “그 사람은 유명한 영화 스타예요”라고 바꿔 말하여 “사람들이 많이 아는” 대신에“유명한”을 사용하고, “배우”를 “영화 스타”로 대체하였다. [자료 21] S 12 - 과제 4











































































237ปญหาอุปสรรค และแนวทางการแกไขของปญหาที่เกิดจากการจัดการเรียนการสอนภาษาเกาหลีสําหรับผูเ รียนท่ผี พู ิการทางสายตานี้1.ปญ หาและอุปสรรคดา นการจดั การเรียนการสอน คือ 1) การใชหนังสอื เสียงทมี่ ีบทเรยี น 2) การสอนโดยปากเปลา 3) การสอนโดยใหผพู ิการทางสายตาตอ งทอ งจําเปนตามเสียงการพดู ของครูและการฟง แผน บนั ทึกเสียง แนวทางแกไ ขดา นการเตรยี มการสอน ผสู อนในแตล ะบทเรียนนน้ั ครแู ละผชู ว ยสอน(นสิ ติ )ตองจัดเตรียมทาํ ใบความรูด า นการออกเสียงภาษาเกาหลี เชน คาํ ศัพท บทอา นทา ยบท บทสนทนาประจําบท พรอมการเตรียมสอ่ื อุปกรณก ารสอนเหมอื นกบั ทใี่ ชสอนชน้ั เรยี นปกติ และตองมีการจัดลําดับการสอน จะตองจากสิ่งที่งายสูส่ิงท่ียาก กลา วคือ ตอ งมกี ารเริ่มจากการนําเขา สบู ทเรียน ฝก ข้ันพ้ืนฐาน ฝกข้ันนําไปใช แลวสรุปส่ิงท่ีเรียนตามลําดับและครูจะตองสามารถจดั การเรยี นการสอนไดอ ยา งราบรนื่ ถงึ แมว าจะมีความกังวลกับการควบคุมชั้นเรียน การใชส่อื และกิจกรรมการประเมนิ ผลของผูพกิ ารทางสายตาซ่ึงตองใชมากกวาปกติและการใชส่ือสําหรับการสอนแกผูพิการทางสายตาจะมีใชนอย และหนังสือเสียงท่ีใชเรียนน้ัน ในแตบทที่มีภาษาเกาหลีและบรรยายไทย และไมสามารถจัดทําเอกสารประกอบการเรียนเปนอักษรเบรลลไดทันเวลาเพราะมีขอจํากัดการเปล่ียนแปลงเสียงพูดออกเปน อกั ษรเบรลล ทั้งนี้เพราะไมมีเคร่ืองมือดังกลาวก็ตาม ครูผูสอนจะตองสามารถดําเนินการดังกลาวใหมีประสิทธิภาพใหได 2.ปญหาและอุปสรรคดา นเนื้อหาวิชานน้ั กลาวคือ มีเนื้อหาที่ยากและหลายขั้นตอนไดแกบทท่ี 1 การทกั ทายลกู คาและขน้ั ตอนกอ นทาํ การนวดบทท่ี 2 ข้ันตอนการใชน ว้ิ มอื และมะเหงกในการนวดสวนตา งๆของเทา 1ไดแก (1) เมอื่ จะใชไมในการนวดบทท่ี 3 ข้ันตอนการใชน วิ้ มอื และมะเหงกในการนวดสวนตางๆของเทา 2 ไดแก(1)เมื่อนวดบริเวณเขาและสวนขาและเริ่มเขาสูข นึ้ ตอนสดุ ทายของการนวด(2)ข้ันตอนสุดทาย เมอ่ื จะหอเทาดว ยผาใหลูกคาบทที่ 4สนทนาทั่วไป ประกอบดวย(4.1)ประโยชนในการนวดสวนตางๆของเทา(4.2)การถามอาการเจ็บปวดของลูกคา (อวัยวะอ่ืนๆ)(4.3)รวมคําศัพทจากบทเรียน ไดแก (4.3.1)อวัยวะตางๆของรางกาย(4.3.2)คํากรยิ า (4.3.3)คาํ นามอืน่ ๆ(4.3.4)คําเรียกตวั เลขแบบจนี (4.3.5)คาํ เรยี กตวั เลขแบบเกาหลี แนวทางแกไขผูวิจัยและผูชวยวิจัยก็ใชวิธีการสอนแบบสิ่งที่งายๆไปสูสิ่งที่ยากตามลําดับขั้นตอน เชนวธิ ีการจดจาํ คําศพั ทและประโยค ซ่งึ ในแตว นั จะใหจดจําไมเ กนิ 7 ประโยค และวนั ตอมาก็มกี ารทบทวนบทเรียนที่เคยเรียนในแตว นั กอนแลวจงึ เรยี นรบู ทเรียนใหม และสวนการสอนดานวัฒนธรรมบางอยางของชาวเกาหลี เชนการทกั ทายดวยการกลาวคําสวสั ดพี รอ มการแสดงออกของทา ทาง ผสู อนตองมกี ารอธบิ ายพรอม และใหลงผูเรียนไดปฏบิ ตั ไิ ปพรอ มๆกับการฝก ทกั ษะการพูดอยางชาๆและทาํ ซ้าํ ๆ ทัง้ นเ้ี พอื่ ใหผ เู รยี นผูพ กิ ารทางสายตาจะเขา ใจงา ยข้ึน 3.ปญ หาและอปุ สรรคดา นตัวครสู อนและผูเรียน เพราะทั้งสองฝายมีความตองการอยากสรางเครื่องมือสอ่ื สารโดยการสรางหนังสอื เรียนแบบอักษรเบรลลเ พื่อเสรมิ การเรียนรูใ หมปี ระสทิ ธิภาพมากขึ้นซ่ึงการสอนครั้งน้ีไมสามารถสรางหนังสือเรียนตามความตองการได ทั้งนี้เพราะครูผูสอนภาษาเกาหลีสวนมากไมมีความรูอักษรเบรลล จงึ ไมสามารถจัดทําเอกสารประกอบการเรียนใหไ ดกอรปกับครูผสู อนไมทราบหลักการจดั การเรยี นการสอน


Like this book? You can publish your book online for free in a few minutes!
Create your own flipbook